민주당은 6일 김성순(金聖順) 의원이 건강보험재정안정 종합대책에 불만을 품고 제3정책조정위원장직을 사퇴한데 따른 시비가 계속되자 그간의 당정협의 과정을 설명하며 논란의 진화를 시도했다. 전용학(田溶鶴)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누구의 잘잘못을 따지자는 것은 아니다"고 전제, 김 의원이 지난달 3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김원길(金元吉) 보건복지장관의 보고 후 자신의 의견개진이 봉쇄당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부인했다. 당시 김 장관의 보고후 김 의원이 의사측의 보험료 과다.부당청구 근절대책 미흡 등을 제기하자 이해찬(李海瓚) 정책위의장이 "김 의원의 해외출장 기간에 정책연합 3당의 정책위의장과 정부가 협의해 확정한 안을 마지막으로 정치적인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는 자리에서 당정협의의 초기단계 얘기를 하면 어떻게 하느냐"며 "그 얘기는 나를 통해 해달라"고 제지했다는 것. 김 의원이 지난달 25-29일 김중권(金重權) 대표의 중국방문을 수행하는 기간에 당정협의가 있었으며, 김 의원은 제3정조위원장으로서 자신의 입장을 서면으로 이 의장에게 제출해놓고 간 만큼 김 의원의 입장을 충분히 알고 있었다는 설명이다. 회의에 참석한 다른 최고위원들도 "그렇게 중요한 현안이 있었다면 중국방문을 취소하고 당정협의에 참석했어야 하는데 이제 개인의견처럼 비치는 원론적인 문제제기를 하는 것은 절차상 문제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 대변인은 전했다. 한 당직자는 김성순 의원의 이번 당직사퇴 사건에 대해 "이래서야 당 기강이 정말 문제"라고 말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후임 제3정조위원장에 이미경(李美卿) 제4정조위원장을 전보하거나 다른 교육.복지 전문가 의원을 기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윤동영기자 yd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