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 43兆 더 필요하다" .. 금감원 국제 자문단회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내 금융시장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83조원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는 정부가 추가 조성키로 한 40조원의 공적자금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금액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도미니크 바튼 매킨지컨설팅 한국대표는 29일 금융감독원이 주관한 국제자문단(IAB) 포럼에 참석, 이같이 주장했다.
바튼 대표는 이날 "외환위기 직후와 비교할 때 한국 금융권의 부실채권이 상당히 감소했으나 아직 1천6백40억∼2천억달러(최대 약 2백58조원) 가량의 잠재 부실채권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같은 잠재 부실채권 규모는 이자보상배율 2(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2배) 미만인 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총여신 금액이라고 매킨지측은 설명했다.
이중 회수 가능한 금액과 작년말까지 투입된 공적자금 등을 감안하면 잠재 부실채권을 해소하는데 83조원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는 것.
금감원은 이에 대해 "매킨지가 이자보상배율 2 미만 기업여신을 잠재 부실채권으로 본 것은 주관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작년말 금융회사의 부실채권(고정이하 여신) 규모는 64조6천억원"이라고 반박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
이는 정부가 추가 조성키로 한 40조원의 공적자금보다 두 배 이상 많은 금액이어서 논란이 예상된다.
도미니크 바튼 매킨지컨설팅 한국대표는 29일 금융감독원이 주관한 국제자문단(IAB) 포럼에 참석, 이같이 주장했다.
바튼 대표는 이날 "외환위기 직후와 비교할 때 한국 금융권의 부실채권이 상당히 감소했으나 아직 1천6백40억∼2천억달러(최대 약 2백58조원) 가량의 잠재 부실채권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같은 잠재 부실채권 규모는 이자보상배율 2(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2배) 미만인 기업에 대한 금융권의 총여신 금액이라고 매킨지측은 설명했다.
이중 회수 가능한 금액과 작년말까지 투입된 공적자금 등을 감안하면 잠재 부실채권을 해소하는데 83조원의 공적자금이 필요하다는 것.
금감원은 이에 대해 "매킨지가 이자보상배율 2 미만 기업여신을 잠재 부실채권으로 본 것은 주관적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작년말 금융회사의 부실채권(고정이하 여신) 규모는 64조6천억원"이라고 반박했다.
박수진 기자 park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