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놈혁명] 포스트 게놈시대 :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 가시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서정선 < 마크로젠 사장 >
포스트 게놈시대는 인간의 삶을 어떻게 바꿔놓을 것인가.
인간 유전자 지도의 완성은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를 가시화시켰다.
즉 30억개 염기의 의미를 데이터베이스화(DB)해 개인 게놈의 특성을 분석해 낸다면 질병의 진단과 처방도 개인별로 이뤄지는 시대가 열릴 것이다.
이렇게 되면 DB검색과 네트워크 이용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의료환경이 만들어진다.
컴퓨터기술과 의학이 접목돼 새로운 정보의학인 게놈의학이 기존 의학을 대체하게 된다는 얘기다.
게놈의학은 결국 생명의 신비에 도전해 질병퇴치와 수명연장의 꿈을 실현시키게 될 것이다.
이같은 의료혁명은 인간게놈 분석의 성공에서 출발한다.
생명의 설계도인 DNA의 모든 서열이 분석됨으로써 생명의 신비를 벗기는 가장 중요한 첫단추가 끼워진 것이다.
이제 유전자의 질병관련 기능이 하나씩 밝혀질 때마다 손쉬운 검색으로도 신약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그 신약개발은 기존 방식에 비해 기간은 3분의 1,비용은 20분의 1로 줄어든다.
신약도 단순히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인을 치료하는 약이 나오게 된다.
게놈의학에서 쓰이는 핵심적인 도구로는 DNA칩과 SNP(단일염기 변이)지도,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등을 들 수 있다.
DNA칩으론 개인별 유전정보나 질환별 유전자군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
SNP는 개인별 염기서열 변이로 인한 질병 후보 유전자를 찾는 데 쓰인다.
이런 도구를 이용하면 신약개발은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게놈정보로 질병유전자를 먼저 찾고 신약을 검색하면 20배 이상의 신약타깃 물질을 찾을 수 있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매년 5백개의 타깃 밖에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게놈정보를 이용하면 5천개에서 1만개의 새로운 타깃이 얻어지게 되는 셈이다.
신약개발 과정에서 관련 질병유전자를 알고 있다는 것은 신약이 이미 개발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검색할 후보 화합물을 바로 유전자 활성측정시험에 넣으면 짧은 기간에 후보물질을 검색하게 된다.
그 기간은 기존의 평균 12.5년에서 5년으로 줄어든다.
화합물 검색수는 줄어드는 반면 후보물질의 수는 10~20배 늘어 경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신약개발 기간의 단축과 경비절감 효과까지 감안하면 게놈의학은 이제 수많은 질병의 원인적 치료약을 값싸게 공급시켜 줄 게 분명하다.
신약개발과 함께 약물게놈학(pharmacogenomics)이 실용화된다.
약물게놈학은 약과 개인별 유전형을 맞춰주는 학문분야다.
특히 미국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대부분 병원에서 전체 3%의 환자로부터 약에 의한 심각한 부작용을 경험한 바 있다고 한다.
이런 부작용을 예방하려면 제약회사들은 기존의 약은 물론 신약을 내놓을 때마다 게놈분석을 해야 한다.
과민성 체질도 기존의 집단적 의학에선 환자의 책임으로 미룰 수 있었다.
그러나 게놈의학에서는 제약회사의 책임이 되므로 모든 제약사들이 초기부터 게놈분석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게놈의학 시대에 제약회사들은 서로 합병을 통해 규모를 키우는 한편 새로운 게놈분석을 통해 치열한 신약개발 경쟁에 나서고 있다.
게놈의학이 발전해 사람의 유전자별 기능이 밝혀지고 SNP지도가 나오면 마치 오늘날 모든 사람들이 혈액형을 알고 있듯이 자신의 유전형을 알게 될 것이다.
개인의 특수한 유전형에 따라 그에 걸맞는 의료서비스가 시도될 것이다.
예컨대 미래에는 자신의 유전자 정보가 입력된 카드를 가지고 다니며 감기에 걸렸을 때 감기약을 파는 자판기에 자신의 유전정보카드를 읽힌 후 자신의 유전형에 가장 적합한 약을 살 수 있게 된다.
그런 점에서 의사들의 역할이 크게 바뀔 것이고 큰 병원보다는 작은 클리닉이 더 유리할 것이다.
이런 급격한 의료환경 변화에 미리미리 준비하지 않는다면 기존 의사들은 급속히 몰락할 수도 있다.
jeongsun@macrogen.com
포스트 게놈시대는 인간의 삶을 어떻게 바꿔놓을 것인가.
인간 유전자 지도의 완성은 개인별 "맞춤의학 시대"를 가시화시켰다.
즉 30억개 염기의 의미를 데이터베이스화(DB)해 개인 게놈의 특성을 분석해 낸다면 질병의 진단과 처방도 개인별로 이뤄지는 시대가 열릴 것이다.
이렇게 되면 DB검색과 네트워크 이용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의료환경이 만들어진다.
컴퓨터기술과 의학이 접목돼 새로운 정보의학인 게놈의학이 기존 의학을 대체하게 된다는 얘기다.
게놈의학은 결국 생명의 신비에 도전해 질병퇴치와 수명연장의 꿈을 실현시키게 될 것이다.
이같은 의료혁명은 인간게놈 분석의 성공에서 출발한다.
생명의 설계도인 DNA의 모든 서열이 분석됨으로써 생명의 신비를 벗기는 가장 중요한 첫단추가 끼워진 것이다.
이제 유전자의 질병관련 기능이 하나씩 밝혀질 때마다 손쉬운 검색으로도 신약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그 신약개발은 기존 방식에 비해 기간은 3분의 1,비용은 20분의 1로 줄어든다.
신약도 단순히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인을 치료하는 약이 나오게 된다.
게놈의학에서 쓰이는 핵심적인 도구로는 DNA칩과 SNP(단일염기 변이)지도,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등을 들 수 있다.
DNA칩으론 개인별 유전정보나 질환별 유전자군의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
SNP는 개인별 염기서열 변이로 인한 질병 후보 유전자를 찾는 데 쓰인다.
이런 도구를 이용하면 신약개발은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게놈정보로 질병유전자를 먼저 찾고 신약을 검색하면 20배 이상의 신약타깃 물질을 찾을 수 있다.
기존의 방법으로는 매년 5백개의 타깃 밖에 찾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게놈정보를 이용하면 5천개에서 1만개의 새로운 타깃이 얻어지게 되는 셈이다.
신약개발 과정에서 관련 질병유전자를 알고 있다는 것은 신약이 이미 개발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검색할 후보 화합물을 바로 유전자 활성측정시험에 넣으면 짧은 기간에 후보물질을 검색하게 된다.
그 기간은 기존의 평균 12.5년에서 5년으로 줄어든다.
화합물 검색수는 줄어드는 반면 후보물질의 수는 10~20배 늘어 경비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신약개발 기간의 단축과 경비절감 효과까지 감안하면 게놈의학은 이제 수많은 질병의 원인적 치료약을 값싸게 공급시켜 줄 게 분명하다.
신약개발과 함께 약물게놈학(pharmacogenomics)이 실용화된다.
약물게놈학은 약과 개인별 유전형을 맞춰주는 학문분야다.
특히 미국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대부분 병원에서 전체 3%의 환자로부터 약에 의한 심각한 부작용을 경험한 바 있다고 한다.
이런 부작용을 예방하려면 제약회사들은 기존의 약은 물론 신약을 내놓을 때마다 게놈분석을 해야 한다.
과민성 체질도 기존의 집단적 의학에선 환자의 책임으로 미룰 수 있었다.
그러나 게놈의학에서는 제약회사의 책임이 되므로 모든 제약사들이 초기부터 게놈분석을 시도하게 될 것이다.
게놈의학 시대에 제약회사들은 서로 합병을 통해 규모를 키우는 한편 새로운 게놈분석을 통해 치열한 신약개발 경쟁에 나서고 있다.
게놈의학이 발전해 사람의 유전자별 기능이 밝혀지고 SNP지도가 나오면 마치 오늘날 모든 사람들이 혈액형을 알고 있듯이 자신의 유전형을 알게 될 것이다.
개인의 특수한 유전형에 따라 그에 걸맞는 의료서비스가 시도될 것이다.
예컨대 미래에는 자신의 유전자 정보가 입력된 카드를 가지고 다니며 감기에 걸렸을 때 감기약을 파는 자판기에 자신의 유전정보카드를 읽힌 후 자신의 유전형에 가장 적합한 약을 살 수 있게 된다.
그런 점에서 의사들의 역할이 크게 바뀔 것이고 큰 병원보다는 작은 클리닉이 더 유리할 것이다.
이런 급격한 의료환경 변화에 미리미리 준비하지 않는다면 기존 의사들은 급속히 몰락할 수도 있다.
jeongsun@macroge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