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에 대한 정부지분 1차 매각대상 물량(14.7%)중 90% 이상이 유찰돼 사실상 매각계획이 무산됐다.

정보통신부 관계자도 "이번 입찰에 기대를 걸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고 인정했다.

이에따라 오는 2002년 6월까지 한통 민영화를 완료하겠다는 당초 계획에 차질이 빚어진 것은 물론 향후 민영화 일정 재조정이 불가피하게 됐다.

정통부는 이번 유찰에 따라 한통의 지배구조와 매각한도 등을 놓고 전면적인 재검토에 들어갈 예정이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특히 한통의 지배구조 변화와 관련,정부가 어떤 방침을 내놓을지에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국내매각 실패이유=무엇보다 당초 기대한 대기업들과 개인투자자들이 이번 입찰에 참여하지 않은 것이 직접적인 이유다.

특히 입찰 참여가능업체로 거론된 몇몇 대기업들은 정부의 특정기업 소유지분제한(15%)으로 경영권에 대한 별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 따라 입찰참여를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들도 입찰예정가가 높고 입찰에 들어가더라도 최저입찰한도(1천주)에 따라 최소한 7천억원을 투자해야 한다는 부담 때문에 참여율이 낮았다.

증권업계에서는 개인 투자자들의 경우 한통 지분보다는 13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되는 한통IMT 국민주 청약에 훨씬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재입찰은 어떻게=정통부는 우선 오는 3월말까지 한통의 지배구조와 동일인지분한도 문제에 대한 공청회 등을 거쳐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을 마련해 하반기중 국내매각을 다시 추진키로 했다.

정통부는 이미 외국계 컨설팅기관에 의뢰해 민영화 관련 종합보고서를 작성중이며 빠르면 이달말까지 보고서를 받아 정부 초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송유종 정통부 통신업무과장은 "하반기에 진행할 재입찰에서는 시장이 원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파악해 지분매각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통의 지배구조 변화 가능성=관건은 한통의 지배구조와 소유한도에 대한 정통부의 복안이 무엇인가에 달려있다.

이미 한통의 지배구조에 대해서는 정부쪽에서 여러차례 변화가능성을 시사해왔다.

정통부 관계자는 "국내 매각은 실수요자들의 참여 의사가 중요하므로 수요자를 끌어들일 만한 다양한 유인책이 필요하다"며 "한통 지배구조에 대한 마스터플랜 수립시 현재 동일인 주식소유제한 15%를 상향조정 또는 폐지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중"이라고 말했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