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력감축과 지점 통폐합 없는 합병은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국민은행과 주택은행간 합병작업을 지켜보는 금융계의 의견을 한마디로 정리하면 이렇다.

두 은행이 합병을 하면 소매금융에서 독점적인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고 자산 증가로 대외신인도를 높일 수 있겠지만 강력한 구조조정이 없다면 "안하는 것보다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 국민+주택 어떤 효과 있나 =소매금융시장에서의 독점적 경쟁력과 자산증가에 따른 규모의 경제 효과가 기대된다.

구경회 메리츠증권 애널리스트는 "두 은행이 합병하면 국내 소매금융시장의 40% 이상을 장악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국민은행은 가계금융과 신용카드쪽에, 주택은행은 주택금융쪽에 특화돼 있다.

김정태 주택은행장은 "이런 면에서 두 은행간 합병은 시너지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외국계 증권사인 크레디트 리요네 증권도 합병후 서로간 교차판매 등을 통해 매출이 5% 가량 늘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IT(정보기술) 투자비 절감 효과도 만만치 않다.

김영일 주택은행 부행장은 "주택은행만 앞으로 3~4년간 8천억원 가량을 투자할 계획이지만 국민은행과 합병하면 이를 절반 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두 은행은 모두 소매금융에 치우친 은행이라는 점에서 ''범위의 경제'' 효과는 미미한 편이다.

또 두 은행 인력간 화학적 융합이 어렵다는 점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 문제는 강도높은 구조조정 =두 은행의 경영진은 "인력과 지점축소는 최소화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두 은행 모두 이익을 내고 있는데 굳이 지점을 축소할 이유가 없다"(김정태 주택은행장)는 논리다.

그러나 이럴 경우 합병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안팎의 분석이다.

자산 규모 증가에 따른 일시적인 효과가 사라지고 나면 높은 인건비와 지점운영비가 큰 부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9월말 현재 비정규직을 포함한 직원수는 국민은행이 1만4천3백28명, 주택은행은 1만1천9백67명이다.

점포수는 국민 5백89개, 주택 5백52개다.

이중 거리가 5백m 이내로 인접해 있는 두 은행 지점은 전체 66%에 달한다.

직원 분포를 보더라도 영업일선에 포진해 있는 4급과 5급이하 행원은 국민은행이 9천3백52명, 주택은행은 7천5백70명이나 된다.

두 은행이 기업금융 등 새로운 업무영역을 확보하기보다는 기존 소매금융분야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합치는 조건임을 감안하면 중복 인원과 지점 정리는 필수적이다.

합병후 선진 은행 수준의 경쟁력을 갖추는 데도 구조조정은 불가피하다.

지난 6월말 누계실적으로 볼때 국민은행은 1인당 총자산이 76억원, 1인당 당기순이익은 2천만원이다.

주택은행은 각각 64억8천만원, 4천2백만원이다.

이는 같은 기간 씨티은행 한국지점이 올린 1인당 총자산 1백46억8천만원과 1인당 당기순이익 1억3백만원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이다.

박승록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은행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합병전보다 합병후에 더 강도높은 구조조정을 실시해야 한다"며 "그러지 못할 경우에는 합병을 하지 않는 것이 낫다"고 밝혔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