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판정 구체잣대 뭐냐"..정부 구조조정 드라이브...재계 표정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재계는 정부가 연말까지 부실기업을 총정리한다는 시간표를 정해놓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서 기업구조조정을 밀어부칠 경우 전체 산업에 예상치못한 충격을 주지않을까 걱정하는 분위기다.
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LG SK 롯데 등 일부 우량 그룹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 재무담당 임원들은 채권금융기관과 부실판정 잣대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면서 경영에 미칠 파장을 검토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들이다.
앞으로 부실 판정을 놓고 논란이 커질 경우 자금시장이 급속히 경색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인해 하루 단위로 현금흐름을 파악하는 등 완충장치를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부채비율이 높아 이번에 당한다''는 루머에 시달리고 있는 건설업계 시멘트업계 섬유업계 등의 몇몇 최고경영자들은 주요 거래선을 일일이 방문하며 안심시키는 데 진력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느긋한 삼성 LG SK 롯데의 구조조정본부까지도 정부가 이자보상비율과 새로운 자산건전성 분류기준(FLC)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할지 가장 궁금해한다.
재계는 FLC의 적용 기준과 해석이 이번 부실기업 정리의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 철강 섬유 시멘트 등 과다한 부채와 경기부진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의 자금담당 임원들은 기존에 마련했던 자구안을 보완해 주 채권은행에 다시 제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정부가 부실 평가의 주요 잣대로 신 자산분류기준을 적용할 경우 미래 수익창출 능력만 인정받으면 퇴출 대상에서 일단 제외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부실 심사대상 기업으로 거명되고 있는 기업 관계자는 "연말까지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사업부 매각협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부실 시비가 제기되면 원만한 협상이 어려울 것"이라며 한숨지었다.
주 채권은행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해온 기업들도 부실기업 판정작업이 일단락될 때까지는 은행측과 협상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재계는 정부가 어떤 부실판정 가이드라인을 내놓든지 채권자인 주 거래은행이 줏대 있게 자신들의 생존가능성 여부를 판정해주길 바라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 황인학 산업연구실장은 "어떤 기업이 퇴출 대상이냐를 판단할 때 이해관계가 가장 큰 채권단이 최종 판정할 수 있어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의 한 관계자도 "지난 98년 퇴출 심사때처럼 채권은행별로 무조건 몇개 기업씩 퇴출 기업을 선정하는 할당 방식은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재계는 일회성 기업퇴출 판정을 통해 금융 부실을 제거하려는 정부의 조치는 근본적인 처방이 될 수 없는 만큼 먼저 은행의 체질을 강화하고 은행이 지속적으로 부실 기업을 퇴출시켜야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
4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 LG SK 롯데 등 일부 우량 그룹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 재무담당 임원들은 채권금융기관과 부실판정 잣대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면서 경영에 미칠 파장을 검토하는 등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들이다.
앞으로 부실 판정을 놓고 논란이 커질 경우 자금시장이 급속히 경색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인해 하루 단위로 현금흐름을 파악하는 등 완충장치를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부채비율이 높아 이번에 당한다''는 루머에 시달리고 있는 건설업계 시멘트업계 섬유업계 등의 몇몇 최고경영자들은 주요 거래선을 일일이 방문하며 안심시키는 데 진력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느긋한 삼성 LG SK 롯데의 구조조정본부까지도 정부가 이자보상비율과 새로운 자산건전성 분류기준(FLC)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할지 가장 궁금해한다.
재계는 FLC의 적용 기준과 해석이 이번 부실기업 정리의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 철강 섬유 시멘트 등 과다한 부채와 경기부진으로 수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의 자금담당 임원들은 기존에 마련했던 자구안을 보완해 주 채권은행에 다시 제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정부가 부실 평가의 주요 잣대로 신 자산분류기준을 적용할 경우 미래 수익창출 능력만 인정받으면 퇴출 대상에서 일단 제외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부실 심사대상 기업으로 거명되고 있는 기업 관계자는 "연말까지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사업부 매각협상을 벌이고 있는 상황에서 부실 시비가 제기되면 원만한 협상이 어려울 것"이라며 한숨지었다.
주 채권은행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재무구조 개선을 추진해온 기업들도 부실기업 판정작업이 일단락될 때까지는 은행측과 협상을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재계는 정부가 어떤 부실판정 가이드라인을 내놓든지 채권자인 주 거래은행이 줏대 있게 자신들의 생존가능성 여부를 판정해주길 바라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 황인학 산업연구실장은 "어떤 기업이 퇴출 대상이냐를 판단할 때 이해관계가 가장 큰 채권단이 최종 판정할 수 있어야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의 한 관계자도 "지난 98년 퇴출 심사때처럼 채권은행별로 무조건 몇개 기업씩 퇴출 기업을 선정하는 할당 방식은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재계는 일회성 기업퇴출 판정을 통해 금융 부실을 제거하려는 정부의 조치는 근본적인 처방이 될 수 없는 만큼 먼저 은행의 체질을 강화하고 은행이 지속적으로 부실 기업을 퇴출시켜야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익원 기자 ik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