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내 갚아야 할 외채(유동외채)가 7월말 현재 6백45억달러로 늘어나는 등 외채 관리가 위험수위에 이르고 있다.

언제라도 한국을 떠날 수 있는 외국인 주식투자자금(7백14억달러)까지 합치면 단기유출가능 자금이 1천3백59억달러에 달한다.

반면 외환보유액은 9백4억달러에 그치고 있다.

정부는 유동외채를 모두 갚고 남을 만큼 외환보유액이 있어 큰 문제는 없다는 판단이나 좀 더 엄격한 외채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많다.

◆ 위험수위 오른 단기외채 =재정경제부가 5일 발표한 ''7월말 현재 총대외지불부담(총외채) 현황''에 따르면 단기외채는 4백78억달러로 전달에 비해 8억달러 늘어났다.

지난해 12월이후 7개월째 증가추세다.

단기외채는 만기가 1년미만인 외채를 말한다.

지난 98년11월 2백94억달러로 줄었던 단기외채는 20개월만에 1백84억달러가 늘었다.

총외채중 단기외채가 차지하는 비중도 7월말 현재 33.6%로 지난해 9월(24.7%) 이후 10개월째 상승행진을 했다.

단기외채에다 만기 1년이상인 장기외채중에서 1년내 만기가 돌아와 갚아야 할 외채를 합한 것을 유동외채라 한다.

유동외채 규모는 7월말 6백45억달러로 작년말보다 85억달러 증가했다.

◆ 단기외채 왜 느나 =단기외채가 늘어나는 것은 경기회복으로 외상수입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7월의 경우도 수입신용으로 인한 단기외채 증가분이 9억달러에 달했다.

재정경제부 김용덕 국제금융국장은 "수입신용 원유단기차입 수출선수금 등 무역관련 신용이 단기외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외환위기 이전 20% 안팎에 그쳤으나 현재는 50% 수준으로 높아진 상태"라며 "전체 단기외채 증가액의 70∼80%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금융기관이나 기업들이 외환위기시 고금리로 빌린 장기외채를 저금리 단기외채로 바꾸고 있으며 외환사정 호전으로 한국 신용도가 높아지면서 금리가 싼 단기외채를 선호하는 것도 한 요인으로 꼽힌다.

◆ 문제는 없나 =재경부는 외환보유액이 9백억달러를 넘어서고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유동외채 비율이 국제기준 이하여서 아직 괜찮다는 입장이다.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은 7월말 현재 52.9%, 유동외채 비중은 71.3%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단기외채 비중이 60% 미만, 유동외채 비중은 1백% 미만이면 안정 수준으로 보고 있다.

또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외채 비중도 32.9%로 세계은행(IBRD) 기준 경(輕)채무국이라는 것이다.

IBRD는 이 비율이 30% 미만이면 외채문제가 없는 국가, 30∼50%는 경채무국으로 분류하고 있다.

이와함께 금융 민간부문이 1년이내 달러로 현금화할 수 있는 대외채권과 외환보유액을 합한 단기가용자금이 7월말 현재 1천3백89억달러로 대외지급능력에 큰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

이에대해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한 연구위원은 "한국의 단기외채 비중은 외환위기를 경험한 주요국과 견줘 높은 수준"이라며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삼성경제연구소도 "동남아 등의 금융시장 불안으로 외국인 주식투자자금이 빠져 나갈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주요국의 전체 외채중 단기외채 비중은 지난해말 현재 태국 27.2%,브라질 24.5%, 멕시코 17.7%로 한국(28.6%)보다 훨씬 낮다.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중도 태국(48.5%) 중국(15.3%) 말레이시아(29.7%) 등이 한국(52.9%)보다 낮다.

강현철 기자 hc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