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F 수탁고 급증... 시가평가 적용 여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MMF의 수탁고가 사상최고수준으로 늘어나면서 MMF에도 시가평가를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MMF도 공사채형 상품의 일종인만큼 장부가평가를 지속할 경우 금리변동에 따라 투신사의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6일 투신협회에 따르면 지난24일 현재 전체투신권의 MMF 수탁고는 34조5천8백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 들어 12조9천억원이 증가했으며 이달 들어서만 10조원가량 늘어났다.
투신권의 총 수탁고가 올해 들어 40조원가량 줄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폭발적인 증가세다.
투신권 상품중 유일하게 시가평가가 적용되지 않는데다 최근 비과세상품의 예약금액이 늘어나면서 수탁고가 급증했다.
하지만 이같은 수탁고의 증가와 더불어 MMF의 부실을 우려하는 지적도 늘어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MMF의 경우 미국 등 선진국과 달리 부실위험에 대한 안전장치가 미흡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5년 미만 국공채 편입비율(최고 50%까지)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이들 채권은 가중평균 잔존만기 계산에 빠져 있어 금리상승시 손실폭이 커질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현재 MMF에 편입하는 채권의 잔존만기(duration)는 가중평균적용시 90일을 넘지 못하도록 돼 있다.
또 MMF자산내에 회사채의 편입을 허용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증권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3천억원가량의 추가부실이 투신사에 발생하게 된다"며 "MMF의 수탁고 규모가 사상최고 수준으로 늘어난 만큼 이젠 부실 가능성을 사전에 제거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도 "MMF마저 문제가 발생하면 투신권의 신뢰를 다시 회복하기는 힘들 것"이라며 "시가평가와 국공채 편입비율 축소 및 회사채 편입금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
MMF도 공사채형 상품의 일종인만큼 장부가평가를 지속할 경우 금리변동에 따라 투신사의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26일 투신협회에 따르면 지난24일 현재 전체투신권의 MMF 수탁고는 34조5천8백억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올 들어 12조9천억원이 증가했으며 이달 들어서만 10조원가량 늘어났다.
투신권의 총 수탁고가 올해 들어 40조원가량 줄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폭발적인 증가세다.
투신권 상품중 유일하게 시가평가가 적용되지 않는데다 최근 비과세상품의 예약금액이 늘어나면서 수탁고가 급증했다.
하지만 이같은 수탁고의 증가와 더불어 MMF의 부실을 우려하는 지적도 늘어나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현재 MMF의 경우 미국 등 선진국과 달리 부실위험에 대한 안전장치가 미흡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5년 미만 국공채 편입비율(최고 50%까지)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이들 채권은 가중평균 잔존만기 계산에 빠져 있어 금리상승시 손실폭이 커질 공산이 크다는 분석이다.
현재 MMF에 편입하는 채권의 잔존만기(duration)는 가중평균적용시 90일을 넘지 못하도록 돼 있다.
또 MMF자산내에 회사채의 편입을 허용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증권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3천억원가량의 추가부실이 투신사에 발생하게 된다"며 "MMF의 수탁고 규모가 사상최고 수준으로 늘어난 만큼 이젠 부실 가능성을 사전에 제거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도 "MMF마저 문제가 발생하면 투신권의 신뢰를 다시 회복하기는 힘들 것"이라며 "시가평가와 국공채 편입비율 축소 및 회사채 편입금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재석 기자 yag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