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모니터는 주파수를 맞춰야만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주파수란 무엇이고 어떻게 설정하는 것입니까.

또 수직주파수와 수평주파수가 있던데 이 둘은 어떻게 다른지 알고 싶습니다.

A :모니터 화면에 보이는 글자나 그림은 수많은 점들이 모여 만들어 진 것입니다.

수평으로 뿌려지는 많은 점들이 하나의 선을 만들고 이 선이 수직으로 나열되어 하나의 화면이 보여지는 것이지요.

수평주파수란(Horizontal Frequency)란 모니터 화면에 수평 라인을 1초에 몇번 뿌리는지를 의미합니다.

가령 85kHz까지 수평주파수를 지원한다는 것은 1초당 8만5천번까지 수평 라인을 그릴 수 있다는 뜻입니다.

수직주파수(Vertical Frequency)는 1초에 몇번의 화면을 만들 수 있는지를 의미합니다.

하나의 화면은 수많은 수평 라인이 모여 만들어 집니다.

예컨대 하나의 수평라인을 쏘고 바로 위에 또다른 수평라인을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화면을 만듭니다.

수직주파수가 75Hz라는 것은 1초에 75번의 화면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수직주파수는 화면의 깜빡임을 좌우합니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깜빡임이 줄어들어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수직 주파수는 일명 리프레시율(refresh rate)이라고도 부르지요.

윈도에서 모니터의 주파수를 올바로 사용하려면 반드시 해당 모니터의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합니다.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방법은 윈도98의 경우 "설정->제어판->디스플레이->설정->고급->모니터"를 차례로 선택한 후 자신의 모니터에 맞는 드라이버를 쓰고 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모니터의 종류와 등록된 드라이버의 종류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변경"을 선택합니다.

"장치 드라이버 업데이트 마법사"가 실행되면 "다음"을 누르고 "드라이버 목록"을 만든 후 "원하는 드라이버 선택"을 지정합니다.

"모든 하드웨어 표시"를 선택하면 제조업체 목록이 나타나는데 여기서 자신이 갖고 있는 모니터의 제조업체를 선택합니다.

오른쪽 모델 부분에 나타나는 목록에서 자신의 모니터 모델명과 동일한 항목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릅니다.

설치가 종료되면 "마침"을 선택합니다.

만일 모니터의 제조회사와 드라이버가 목록에 없으면 제조회사의 홈페이지나 PC통신 포럼의 자료실을 검색해 다운로드 받아야 합니다.

이제 다시 등록정보 화면에서 "어댑터"를 선택합니다.

아래쪽에 화면 주사율 선택 항목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현재 해상도에서 지정할 수 있는 주파수가 나타납니다.

하우인터넷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