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들의 주5일제 근무는 도입되지 않을 것이다. 공직사회의 주5일제 도입은 경제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인데 나는 되돌릴 수 없는 실책이 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싶지 않다"

지난주 고촉통 싱가포르 총리가 정부부문의 주5일 근무제에 대해 밝힌 견해다.

싱가포르 신문들은 정부의 주5일제 근무에 대한 정부 최고위층의 입장 정리라는 점에서 비중있는 기사로 다뤘다.

고 총리는 공직 사회에 대한 획일적인 주 5일 근무제를 시행하지 않고 각 기관별로 근무 시간을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당연히 민간 부문도 자율이다.

공직사회에서 주5일 근무제가 논의되지만 정부내 입장은 이처럼 명확하고 고위 당국자간의 입장 표명에도 일관성이 있다.

고 총리의 이 발언이 나오기 2주전 림분행 노동장관도 공공 부문의 주 5일 근무제에 대해 상공인들을 상대로 "획일적인 제도 도입은 싱가포르에서의 비즈니스에 비용 증대를 초래할 수 있다"며 고 총리와 비슷한 취지의 연설을 했다.

그러면서 그는 프랑스의 컴퓨터 종사자 근무 형태처럼 일일 몇시간,주간 몇시간제 근무가 아니라 연간 단위의 근로시간제를 대안으로 제안했다.

지난 3월에는 리센룽 부총리가 국회 답변에서 "주 5일제 근무는 전체 경제에서 공공 부문이 일을 더 적게 한다는 신호가 될 것"이라며 신중론을 폈다.

국내에서도 주5일 근무제가 노사간 최대 쟁점으로 부각돼 있다.

이렇게 된 데는 정부의 영향이 적지 않다.

지난 4월 기획예산처가 청와대에 연간업무보고를 하면서 공무원들에 대한 토요격주휴무제를 던진 게 표면적으로는 발화점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기획예산처는 격주로 토요일마다 공무원들이 전일근무와 휴무를 번갈아하면 전체근무시간은 변하지 않는다고 강조했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민간의 감은 달랐던 것이다.

최근에는 김대중 대통령이 사회 전체의 주 5일 근무제 도입에 대해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고 노.사.정위의 특별위원회까지 가동됐다.

그러나 싱가포르처럼 비용증가를 우려하고 이 제도가 사회기풍에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는 아직 나오지 않고 있다.

싱가포르=허원순 경제부 기자 huhws@ 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