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국회 개원으로 시작되는 6월의 정치기상도는 한마디로 ''흐림''이다.

한나라당이 2일 신임 원내총무를 선출, 그동안 중단됐던 여야 협상이 재개됐으나 원내교섭단체 구성 요건 완화와 검찰의 선거사범 수사 등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해 돌파구를 찾기가 여의치 않을 전망이다.

여야는 임시국회 첫날이자 개원일인 5일 경선을 통해 16대 국회 의장단을 선출한다는데만 합의했을 뿐 6일 이후의 의사일정은 마련치 못한 상태다.

특히 한나라당은 인사청문회법 제정을 국회일정과 연계할 태세다.

<> 김대중 대통령 연설과 방북대표단 정당대표 참여 =한나라당은 인사청문회법 제정 등이 합의되지 않으면 연설을 보이코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인사청문회 등과 연계해 여권을 압박하겠다는 계산이다.

한나라당은 여권이 희망한 남북정상회담 대표단에 참여치 않기로 결정했다.

이에대해 민주당은 대화정치 복원을 기치로 각급 채널을 동원, 한나라당 설득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김옥두 총장은 이날 "국정전반에 대한 대통령의 연설을 거부할 명분이 없다"고 강조했다.

정동영 대변인은 한나라당의 대표단 불참 선언에 대해 "남북정상회담에 반대하지 않는다면 동행을 거부할 이유가 없다"며 참여를 거듭 촉구했다.

<> 검찰의 선거사범 수사 =한나라당은 검찰수사가 "여소야대" 정국탈피를 위한 시나리오라며 대대적인 공세로 여권을 압박하고 있다.

권철현 대변인은 성명을 내고 "검찰이 야당의원 당선무효 시나리오를 착착 진행시키고 있다"며 "이러고도 대화정치 운운하는 것은 국민기만"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민주당은 "여당 흠집내기" 공세라고 반박했다.

정동영 대변인은 회의브리핑에서 "야당 탄압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검찰권 훼손이자 정부 여당을 흠집내려는 목적"이라고 역공을 폈다.

김옥두 총장은 "야당 총재가 검찰 공격에 앞장서는 것은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 인사청문회법 제정 =한나라당이 자민련을 협상에서 배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 아예 협상 자체가 중단된 상태다.

내용중에는 기간이 최대 쟁점이다.

여당은 하루면 충분하다는 입장인 반면 한나라당은 최소 3일은 실시해야 한다는 강경한 자세다.

질의서 사전제출 여부도 논란거리다.

<> 상임위원장 배분 =자민련에 1-2석을 할애하는 문제가 핵심 논란거리다.

민주당은 자민련과의 공조를 위해 최소 1석은 할애해야 한다는 입장이나 한나라당은 교섭단체를 구성하지 못한 만큼 할애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민주당과 자민련은 교섭단체 구성요건을 10석으로 낮추는 내용의 국회법 개정안을 이날 국회에 제출했고 한나라당은 개정안 처리를 실력저지키로 방침을 정했다.

김형배.이재창 기자 kh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