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초일류기업 바이오전쟁 한창" ]

이정현 < 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 >

전세계 석학들은 공통적으로 바이오, 정보통신, 환경.에너지 등을 21세기 유망기술로 꼽는다.

이 기술들을 집약시켜 보면 정보를 바탕으로 한 인간 중심의 산업이 미래의 키워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바이오는 생물체 또는 세포.분자의 구성물질을 이용, 인류가 필요로 하는 제품이나 유기체를 만드는 기술을 일컫는다.

소규모 생산시설만으로도 세계 수요를 감당할 수 있는 기술집약.자원절약형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바이오기술은 유전자의 염기배열을 연구하는 게놈학(Genomics) 을 기반으로 한다.

인간 게놈프로젝트가 바로 이의 결정체다.

그동안 판독이 불가능한 블랙박스였던 유전자정보가 게놈프로젝트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디지털기술과의 접목이 가속화되면서 바이오와 전자, 바이오와 환경, 바이오와 농업 등 새로운 산업이 싹트고 있다.

내로라하는 기업들이 현재 인간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도전영역을 개척하는데 열중하고 있다.

노바티스 등 전통적인 의약기업은 물론 몬산토, 듀폰 등 거대 화학기업들도 바이오 중심으로 전환하고 있다.

그밖에도 많은 기업들이 발빠르게 유전자 진단기기나 관련정보사업에 뛰어들고 있어 벌써부터 치열한 기업간 경합이 예상된다.

바이오기술의 바람직한 발전은 인류에게 많은 혜택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바이오인포머틱스는 유전자 정보의 효율적 이용과 제품화를 위한 정보처리 기술로 개인의 유전자 특성에 맞는 맞춤의약.식품시대를 가능케 한다.

이와 함께 엄청난 양의 유전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고속컴퓨팅,시뮬레이션,대용량 정보전송 등 정보통신기술도 각광받을 것이다.

또 유전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유전자치료( gene therapy )기술이 개발되면 질병 노화 행동연구 등에서 돌파구가 열릴 수 있다.

궁극적으로 유전자 해석은 동식물 미생물에도 적용돼 식량 환경 등 인류 문제의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이런 의미에서 21세기 바이오기술은 인류의 새로운 "엘도라도"라 불릴 수 있다.

< curie@sait.samsung.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