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신시가지가 신흥 금융.유통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신시가지 지역에 본격적으로 상권이 형성되자 아파트와 상가 가격도
큰폭으로 오르고 있다.

해운대신시가지에 상권이 형성되고 있는 것은 신시가지가 부산지역 최대의
아파트 밀집지대로 10만명의 주민이 거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지역 진출을 가장 서두르고 있는 곳은 금융기관들이다.

올해초 부산은행 주택은행 한미은행 외환은행 등이 경쟁적으로 지점을 냈다.

최근들어서는 증권열풍이 불면서 증권사들이 일제히 몰려들고 있다.

현대증권 LG증권에 이어 삼성증권 제일투자신탁증권이 문을 열었다.

동원, 대신, 한화, 하나증권 등도 늦어도 내년초까지 지점을 개설키로하고
장소물색에 나서고 있다.

지난달 22일 문을 연 제일투자신탁 좌동 김지해 지점장은 "지점을 개설한
이후 하루 고객유치금이 5억원을 넘어서고 있다"며 "이 지역이 주택단지중
최고의 상권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통업체들도 앞다퉈 문을 열고 있다.

5백평이상의 상가들이 30개이상 들어서고 있다.

내년에는 매장면적 4천평과 1천7백평 규모의 신세계 백화점의 이마트와
롯데백화점의 마그넷 등 대형할인점이 각각 들어서 본격적인 고객유치전을
벌일 전망이다.

해운대지역에 이처럼 상권이 형성되자 롯데4차아파트이 경우 24평의
매매가와 전세가가 각각 8천3백만원, 4천5백만원으로 올초보다 2천만원,
1천만원씩 올랐다.

동신, 대림 한양아파트 등도 마찬가지다.

아파트 상가도 매매와 전세가격이 평당 1천7백만원, 7백만원선으로 올초보다
3백만원이상 뛰고 권리금까지 2천만~4천만원가량 붙어 상가구하기가
어려워졌다.

경남공인중개사 김철기씨는 "해운대와 일광쪽 바닷가를 잇는 해양휴식공간이
개발되면서 해운대신시가지의 인기가 더욱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 부산=김태현 기자 hyunll@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2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