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 계열사에 대한 자산실사 결과와 워크아웃 계획 발표를 앞두고 정부와
채권단 모두 초비상 상태에 돌입했다.

정부는 26일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대우 워크아웃계획 발표이후의
시장안정대책에 대해 논의했다.

6개 전담은행들도 이날 오전 모임을 갖고 워크아웃 초안에 대한 의견조율
작업을 벌였다.

정부와 채권단은 대우 자산실사결과 발표가 늦어질 경우 시장에 "심리적
공황(패닉)"이 나타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대우 계열사에 대한 실사결과 손실율이 20~50%에 이른다는 보도가
나오자 주가가 큰폭으로 하락한 사실에 바짝 긴장하고 있다.

채권단은 대우 손실율이 예상했던 것보다는 커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대우 워크아웃 발표이후 계열사들의 영업실적이 나빠진데다 실사를 맡은
회계법인들이 더욱 보수적인 시각에서 자산실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대우 실사를 부실하게 할 경우 책임을 묻겠다는 금융당국
의 발표가 나온 이후 회계법인들이 실사를 더욱 엄격히 하고 있다"며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결과가 나쁘게 나오는 곳이 적지 않다"고 말했다.

자산실사결과 대우 손실율이 커지면 채권단의 부담은 그만큼 늘어난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60조원에 이르는 국내금융기관 채권중 20조원
안팎의 손실분담을 예상하고 있다"며 "손실금액이 더 늘어날 경우 이를
감당할수 없는 채권금융기관들이 늘어날 것"으로 우려했다.

채권단은 또 대우그룹의 모회사 역할을 했던 (주)대우에 손실이 집중되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채권단의 또다른 관계자는 "(주)대우는 사업성격상 자산실체가 별로 없기
때문에 채권회수도 그만큼 어렵다"며 "해외채권단이 빌려준 대우 채무의
절반 이상이 (주)대우에 몰려 있어 여러가지로 어려움이 크다"고 말했다.

대우자동차 대우중공업 대우전자 등 다른 핵심 계열사들의 손실도 상당한
것으로 전해졌다.

채권단은 자산실사결과가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나쁘게 나올 경우 발생할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하고 있다.

채권단 관계자는 "지난 97년 한보부도 때에는 전체 채권금액이 6조원이었고
기아때는 10조원 안팎이었다"며 "대우에 돈을 빌려준 은행과 투신사 증권사
의 재무구조가 나빠져 금융시스템 마비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주식시장이 대우 손실에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은 금융혼란의 가능성 때문
이다.

특히 대우채권 환매비율이 80%로 높아지는 11월10일을 기점으로 금융권에
대혼란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이같은 가능성이 현실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장담하고
있다.

대우 워크아웃방안이 발표되면 채권금융기관들의 손실이 확정되기 때문에
"공적자금 투입" 등의 대책을 내놓을 수 있다는 얘기다.

정부는 증시활황으로 엄청난 이익을 남긴 증권사에 어느정도 손실을 분담
시키고 한국투신과 대한투신에 공적자금을 투입할 방침을 세워 놓고 있다.

은행들에 대해서는 미래상환능력을 기준으로 적립해야 하는 대손충당금의
50%만 쌓도록 할 방침이다.

금감위 관계자는 "채권단이 대우 손실액만큼 부채를 탕감하는 것이 아니라
이자감면 부채출자전환 등으로 채무구조를 조정하겠다는 것"이라며
"금융기관들이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조치를 내놓아 금융시스템 혼란 만큼은 철저히
막겠다는 방침이다.

< 현승윤 기자 hyunsy@ked.co.kr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0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