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술은 비장의 기운이 밖으로 드러나는 곳이다.

정상적인 입술은 은은하게 홍색을 띄어야 한다.

지나치게 두텁거나 얇아서는 안된다.

특히 적당한 윤기가 유지돼야 하며 지나치게 마르거나 갈라지지 않아야
한다.

입술의 두터운 사람은 선천적으로 다른 장기에 비해서 비장의 기능이 발달
했음을 나타낸다.

반대의 경우는 비장의 기능이 약하다는 의미다.

많은게 항상 좋은 것은 아니듯이 지나치게 비장의 기능이 발달하면 체내에
습사가 생길 가능성이 많아진다.

예컨대 노폐물이 축적돼 비만해질 수 있다.

입술의 색깔이 빨간색을 띠는 것은 혈열로 인한 경우다.

자색을 띨 때는 음허하거나 어혈이 생긴 것이다.

특히 입술의 일부분에 자색반점이 쌀알만하게 있으면 어혈증이 확실하다고
보면 된다.

사람이 임종 때 입술의 색깔이 검게 되는데 이는 비장의 기운이 패절하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입술의 색이 지나치게 창백한 경우는 기혈이 허하거나 양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입술이 자주 트거나 갈라지는 경우는 비장의 진액이 손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비장의 진액은 여러 원인에 의해 손상되는데 음허, 비위의 적열, 간기울화,
신장의 허화 등이 원인이다.

입술 안쪽이 자주 헐어서 음식을 제대로 못먹는 경우는 대개 비위의 습열로
인한 경우와 심화, 혹은 신장의 허화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입안에 침이 유달리 많이 고여 입술이 젖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는 중풍환자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또한 체내에 양기가 부족한 경우에도 나타나므로 이때는 양기를 보충해
주면 된다.

간혹 입술의 근육이 떨리는 경우는 간장에 풍사가 있기 때문이거나 비장이
풍사의 침입을 받은 만경풍에서 나타난다.

박영배 < 경희대 한방병원 교수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27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