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19일 "국민이 내각책임제가 좋다고 하면 그렇게 할 필요가
있으나 지금은 국가위기 남북관계 등의 여건으로 봐서 연기해야 된다는
여론이 높다"고 말했다.

김 대통령은 이날 오전 고산 조계종 총무원장 등 8명의 종교지도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내각제 개헌논의를 중단해 달라"는 건의를 받고 "(내각제
개헌여부의 논의가) 필요한 때가 되면 정식으로 거론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박준영 청와대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통령은 이와함께 "정치가 (경제와 남북문제 등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여론이 있는데 정치안정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대통령은 부정부패 척결문제와 관련, "국가경쟁력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에 정부도 강력히 하려고 한다"며 "그러나 법을 만드는 국민의 대표들이
법을 안지키고 있어서 참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 대통령은 이어 "서상목 의원문제에서 보듯이 서 의원 1인을 위해 국회가
7번 열리고 재판도 못하고 있다"며 "정부가 의지를 갖고 부정부패를 척결
하려하지만 이런 부분에서 막혀 있어 문제"라고 말했다.

8.15 광복절 특별사면문제에 대해 "수배자들도 자수하면 한 사람이라도
더 석방하겠다"며 "1천5백명의 미복권자가 있는데 가능하면 전원 복권하도록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이날 종교계지도자들은 김 대통령에게 <>부정부패 근절 <>서민층을 위한
공평한 분배 <>개혁입법 완수 <>대북정책의 일관성 유지 <>8.15 사면실시
등을 건의했다.

면담에는 고산 총무원장 외 김종수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사무총장, 김동완
한국기독교 교회협의회 총무, 김상근 민족화해와 통일을 위한 종교인협의회
공동대표, 조정근 원불교 교정원장, 최창규 유교 성균관원장, 김광욱
천도교 교령, 한양원 민족종교협의회장 등이 참석했다.

< 김수섭 기자 soosup@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7월 20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