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대출금리가 한자릿수로 떨어졌지만 가계대출의 75%이상은 연 10%가
넘는 높은 금리를 무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은행들은 프라임레이트(대출우대금리)를 내리기보다는 시장실세금리에
연동한 대출상품을 새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금리를 인하, 우대금리에 1-2%를
얹어 대출받은 기존 고객들을 홀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24일 은행의 신규대출금중 대출금리가 우대금리보다 낮은
대출금의 비중은 지난 97년 2월 2.9%에 불과했으나 지난 4월에는 무려
43.2%로 높아졌다.

최저실질금리 역할을 해왔던 우대금리의 기능이 퇴색한 것이다.

한은은 "금융기관들이 우대금리를 내리면 수지가 대폭 나빠지기 때문에
이를 피하면서 대출금리 인하압력을 수용하고 있다"이라고 설명했다.

은행들은 CD(양도성예금증서) 등 시장금리 수준을 반영하는 "시장금리연동
대출"에 치중하고 있다.

개인고객중 우대금리이하 대출금리로 돈을 빌린 사람은 5.9%다.

전체 개인 고객중 75.1%는 연 10%이상의 금리를 물고 있다.

이를 세분하면 30.5%는 약 10.5%의 금리로 대출받았으며 28.7%는 11.5%의
금리를 적용받았다.

13.5%이상의 초고금리를 무는 경우도 전체의 15.3%에 이르렀다.

시장금리 연동대출이 확산됨에 따라 우대금리에 연동해 대출받았던 기존의
가계대출 고객들은 상대적으로 더 큰 불이익을 보고 있다.

우대금리는떨어지지 않고 신규대출금리만 낮아지기 때문이다.

한은은 "가산금리폭은 축소되고 있으나 은행들이 다양한 금리결정기준을
활용함에 따라 실제 대출금의 금리대별 분포는 외환위기 이전보다 넓어졌다"
고 말했다.

금리양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는게 한은의 분석이다.

< 이성태 기자 steel@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6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