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절세 효과와 투자 복리 효과 등으로 월배당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이 빠른 속도로 커지고 있다.
3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와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국내 월배당 ETF는 지난해 말 19개에서 이날 기준 36개로 늘어났다. 투자자가 많아지면서 운용사들이 앞다퉈 라인업을 늘린 결과다. 총 순자산은 현재 약 2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약 1조2000억원에서 1조7000억원가량(142%) 늘어났다. 신규 자금은 약 1조6000억원이 유입됐고, 자산가치 상승으로 1000억원가량 늘어났다.
미국 배당성장 ETF처럼 해외에 투자하는 국내상장 월배당 ETF의 성장세가 강했다. 미국 유명 배당성장 ETF인 ‘슈왑 US 디비던드 에쿼티(SCHD)’와 동일한 포트폴리오로 투자하는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는 올해 순자산이 3121억원 증가했다. ETF 가격은 이 기간 5.43% 하락했지만 약 3500억원의 자금이 새로 들어왔다.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와 ‘ACE 미국배당다우존스’도 순자산이 각각 2232억원, 1240억원 늘어났다.
국내 상품의 경우 리츠, 커버드콜, 회사채 투자 상품의 순자산이 증가했다. 리츠 ETF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올해 가격이 9.63% 하락했지만 월배당을 노린 장기투자 목적 자금 유입에 순자산은 889억원 증가했다. 커버드콜 ETF인 ‘TIGER 200커버드콜ATM’은 순자산이 168억원 늘어났다. 우량 회사채에 투자하는 ‘KBSTAR 중기우량회사채’(316억원)도 다른 회사채 ETF 대비 증가세가 높았다.
월배당 ETF의 경우 분기배당 혹은 연배당 상품보다 배당을 일찍 나눠 받을 수 있어 배당 재투자의 복리 효과가 크다. 또 개인형퇴직연금(IRP)을 활용하면 연급 수령 이전 배당소득세(15.4%)를 내지 않기
인도네시아 증시가 이달들어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높은 경제성장률과 함께 물가도 빠르게 안정시키는데 성공하며 향후 성장가능성이 돋보인다는 평가다.
30일 인도네시아증권거래소(JKSE)에 따르면 이날 인도네시아 IDX지수는 0.70% 오른 7085.56에 마감했다. IDX지수는 이달 들어서만 6.67% 상승하며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52주 최고치(7090.28)에도 근접했다.
인도네시아 증시의 상승세의 배경으로는 탄탄한 경제성장률이 꼽힌다. OECD는 올해 인도네시아의 경제성장률을 기존 4.7%에서 4.9%로 높여 잡았다. 내년은 이보다 더 높은 5.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여기에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2.56% 수준까지 내려오며 경제 성장과 물가 안정이라는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인도네시아 시장에 손쉽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은 펀드와 상장지수펀드(ETF)다. 국내에 상장된 인도네시아 관련 ETF는 'ACE 인도네시아MSCI(합성)'이 유일하다. MSCI 인도네시아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으로 이달 들어 누적 상승률은 3.84%다. NH-Amundi 자산운용의 '인도네시아 포커스 증권투자신탁'도 연초 대비 10.27% 오르며 양호한 수익을 기록했다. 주로 금융·통신업종에 투자한다.
미국에 상장된 인도네시아 ETF도 주목할만하다. '아이셰어즈 MSCI 인도네시아 ETF'(EIDO)가 대표적이다. 주로 인도네시아 금융업에 주로 투자하는 상품으로 최근 한달간 누적 상승률은 7.75%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 개별 종목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등의 HTS·MTS를 통해 인도네시아 상장 종목을 직접 사고팔 수 있다.
주목할만한 업종은 광산업이다. 인도네시아는 2차전지 핵심 소재인 니켈과 구리 등의 매장량이 풍부
올해 월배당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은 순자산이 1조 7000억원 가량 늘어나면서 2.4배 이상 몸집이 불어났다. 배당 재투자, 배당금 비과세 등을 통해 복리효과를 극대화하려는 투자자금이 몰렸다는 분석이다.
3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와 유진투자증권에 따르면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국내 월배당 ETF의 숫자는 지난해 말 19개에서 현재 36개로 늘어났다. 시장 수요가 강해지면서 운용사들이 앞다퉈 상품 라인업을 늘린 결과다. 총 순자산은 현재 약 2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약 1조2000억원에서 1조7000억원 가량(142%)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가치 상승으로 인해 약 1000억원이 늘어났고, 약 1조 6000억원은 신규 자금유입이었다.
국내 상품의 경우 리츠, 커버드콜, 회사채 투자 상품의 순자산이 늘었다. 리츠 ETF인 'TIGER 리츠부동산인프라'는 올해 가격이 9.63% 하락했지만 월배당을 노린 장기투자 목적 자금 유입에 순자산은 889억원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커버드콜 ETF인 'TIGER 200커버드콜ATM'은 순자산이 168억원 늘어났다. 우량 회사채에 투자하는 'KBSTAR 중기우량회사채'(316억원)도 다른 회사채ETF 대비 높은 순자산 증가세를 보였다.
해외에 투자하는 국내상장 월배당 ETF의 성장세가 특히 강했다. 미국 배당성장 ETF들이 시장성장을 이끌었다. 미국 유명 배당성장 ETF인 '슈왑 US 디비던드 에쿼티(SCHD)'와 동일한 포트폴리오로 투자하는 'SOL 미국배당다우존스'의 순자산은 올해 3121억원 증가했다. ETF 가격은 이 기간 5.43% 하락했지만 약 35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되며 순자산이 크게 늘었다.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엄다우존스'과 'ACE 미국배당다우존스'도 순자산이 각각 2232억원, 1240억원 늘어났다.
월배당 ETF의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