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서울 호암아트홀에서 열린 삼성전자 주주총회는 회사측이 참여연대가
요구한 소액주주주 보호장치를 일부 추가 수용함으로써 큰 충돌없이 마쳤다.

참여연대는 삼성자동차에 대한 자금지원으로 입은 손실, 외국인 주주들로
부터 받은 위임장의 적법성 여부등을 집중적으로 따졌다.

또 이사회에 출석하지 않은 이사를 유령이사라고 부르며 이사들의 충실한
활동을 촉구했다.

이날 주주총회는 8시간 45분만에 마쳐 13시간 반 걸렸던 지난해 보다
5시간 정도 단축됐다.

<>.윤종용 의장은 이날 지난해 주주총회를 의식한 듯 "올해엔 원만하고
신속하게 끝내자. 서로 흥분하지 말자"며 당부하면서 회의를 시작했다.

그러나 출석주주보고 감사보고가 끝나고 안건 처리에 들어 가자 회의장
분위기는 뜨거워졌다.

사업보고서 승인 건이 상정되자 류제완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한 소액주주는
12%의 배당안에 대해 "포철 배당률 25%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수준"이라며
"15%로 높여 달라"고 주장했다.

윤 의장은 이에대해 "반도체는 철강과 달리 재투자비가 많이 들어간다"며
이해를 구한뒤 삼성전자 주가가 상한가를 치면 8천원 이상을 벌 수 있다며
미래에 투자하는 셈치고 참아 달라고 부탁했다.

<>.사업보고서 안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참여연대는 삼성자동차에 대한
자금 지원 문제를 집중 거론했다.

장하성 위원장은 삼성자동차에 출자한 팬 퍼시픽(Pan-Pacific)이라는
외국회사가 옵션권을 행사, 삼성전자에 삼성자동차 주식의 매수를 요구해
올 것이라면서 이로인해 삼성전자의 손실규모가 3천8백21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적자에 허덕이던 미국 크라이슬러 자동차회사를 살린 아이아코카
회장도 경영정상화 이후 일시적인 실적악화로 퇴임을 면치 못했다"며 당시
투자 결정을 했던 임원들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장은 이에대해 "삼성전자는 삼성자동차 지분 21%(1천2백억원)만 손해
보게 되며 또 당시 의사결정은 정상적으로 이뤄진 것이었다"고 밝혔다.

<>.해외법인의 적자 규모도 거론됐다.

한 기관투자가는 "지난 97년 연결재무제표상으로 삼성전자가 6천억원의
적자를 냈다"며 "98년에는 기업회계기준 변경으로 손실이 더 나지 않느냐"고
물었다.

회사측은 "98년 연결실적은 97년보다 개선될 것으로 추정되며 지난해 해외
법인의 재고자산을 적정수준으로 줄여 놓아 99년에는 더욱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점심식사 후 정관개정안을 두고 참여연대측이 항목(16개)별로 분리해
표결 처리할 것을 요구해 일괄찬반투표에 부치자는 회사측과 대립됐다.

참여연대는 "정관개정안 개별항목마다 주주들의 의사가 다를 수 있음에도
불구, 일괄투표로 처리하는 것은 주주들의 권익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주장
했다.

이에 대해 회사측은 "참여연대측이 제안한 3호 정관개정안은 개별항목별로
처리한다"며 회사측 정관개정안을 일괄 판반 표결에 부쳤다.

결과는 참석주주의 90.2% 찬성으로 가결.

참여연대가 이의를 제기했으나 윤종용 의장은 참여연대가 요구해온 6개항중
두가지를 수용하겠다고 약속, 타협했다.

두가지는 <>이사회 승인대상 내부거래범위 확대 <>전환사채.신주인수권
부사채 발행시 이면계약 금지 등이다.

참여연대측이 요구한 <>신주의 금융기관배정규정 삭제 <>회사경영상황에
대해 서면질문할 수 있는 주주의 지분요건 0.5% 철폐 <>집중투표제배제
조항 삭제 등은 받아들여 지지 않았다.

<>.장하성 교수는 삼성전자측이 외국인으로부터 받은 위임장에 불법적인
요소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는 감독원에 신고하고 2일이 경과한 후에 할 수
있다"면서 "금감위에 확인한 결과 삼성전자는 신고일인 11일 이전에 위임을
권유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그는 사실 관계를 더 확인후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말했다.

<>.정관개정안이 통과된후에는 안건이 비교적 순탄하게 처리됐다.

삼성전자는 신임이사로 배병관 부사장, 강호문 부사장 임형규 부사장,
김인주 전무(삼성구조조정본부 재무팀장)를, 신임사외이사로 김석수 변호사,
이만우 고려대 교수를 선임하는 안을 통과시켰다.

사외이사 선임 과정에서 참여연대는 남상구 고려대 교수를 추천했으나
윤 의장은 원안을 통과시켰다.

< 박주병 기자 jbpark@ 김홍열 기자 come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3월 22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