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대우 '급류타는 빅딜'] '쌍용식' 금융지원 해법 부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삼성-대우간 빅딜에 개입하기 시작한 것은 무엇보다 빅딜 지연으로
정치.경제적 여파가 심각하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삼성-대우의 빅딜 지연이 "호남 호황,영남 피폐"라는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악성 유언비어의 배경중 하나가 되고 있어 자칫 국론분열이라는
심각한 국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협상이 장기화되면서 삼성자동차가 가동을 중단하고 대우전자는
파업에 돌입하는 등 산업계에 혼란이 가중돼 어렵게 회복한 대외신인도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김대중 대통령이 "기업 구조조정에 정부가 개입했다"는 비판 가능성을
무릅쓰고 두 회사 총수들을 만난데서 사태의 심각성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실무 차원에서는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삼성-대우 빅딜은
급류를 탈 전망이다.
<> 청와대에서 무슨 얘기했나 =청와대 회동의 내용은 전혀 공개되지 않고
있다.
김 대통령은 대승적 견지에서 빅딜을 조기에 매듭지을 것을 당부했을
것이고 두 회장은 일단 빅딜을 조속히 완결짓겠다는 의지를 밝혔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건희 회장은 "선 경영권 인수, 후 실사"를 통해 공장부터 돌리고
봐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는 후문이다.
반면 김우중 회장은 삼성자동차를 넘겨받았을 경우 부담을 거론하면서
부채탕감이나 상환연기 등 채권단 지원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했을
것이라는게 재계 관계자들의 관측이다.
<> 선 경영권 인수, 후 실사 =조기 타결 방법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일단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경영권을 넘기고 실사는 추후 진행하는 방법
이다.
김중권 비서실장, 강봉균 경제수석 등 청와대 고위관계자들은 이미 지난해
말부터 삼성자동차 공장 문제에 대해 정산은 뒤로 미루더라도 일단 공장의
조기가동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밝혀 왔다.
대우가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면서 경영권을 미리 넘겨받고 나중에 실사를
통해 정산을 한 것이 비슷한 사례다.
따라서 두 회장은 곧 다시 만나 담판을 통해 일괄타결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총수간 대타협이 아니고는 이번 빅딜을 성사시킬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부산 정서 달래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게 정부의 입장인 만큼 SM5를
계속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밖에 없다.
물론 이같은 방안에 대해 삼성은 "좋다"는 반응이지만 대우는 "껄끄럽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 빚은 어떻게 나누나 =빅딜 조기 타결을 위해서는 삼성이 부채를 좀더
떠안는 방안이 거론될 수 있다.
삼성자동차의 부채는 약 4조원.
삼성이 2조원을 훨씬 넘게 떠안게 된다.
대우와 쌍용이 쌍용자동차를 주고 받았을 때도 두 회사는 당초 부채
3조4천억원을 대우 2조원, 쌍용 1조4천억원씩 떠안기로 가계약을 맺고
경영권을 넘겼으나 추후 실사 결과 3천억원의 부채를 쌍용이 더 떠안게
됐었다.
이렇게 돼도 대우가 SM5를 추가로 생산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적자에 큰
부담을 안을 수 있다.
따라서 추후 SM5 생산으로 발생하는 적자는 두 그룹이 절반씩 나누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다.
물론 삼성자동차를 떠안는 대우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관계자는 "빅딜 지연의 근본적인 이유가 삼성자동차
처리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금감위 차원의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금감위는 대우그룹이 삼성차를 인수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부채의
상환을 연장해 주거나 출자전환 등의 방법으로 자금동원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대우전자의 빅딜 제외론도 제기되고 있다.
대우는 전자가 세계경영의 한개 축으로 내놓기 아까운데다 삼성도 받아
들이기 부담스러운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성-대우 빅딜은 우선 삼성자동차를 처리한뒤 대우전자 부분은
추후 협의하는 방안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 김정호 기자 jh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25일자 ).
정치.경제적 여파가 심각하다고 판단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삼성-대우의 빅딜 지연이 "호남 호황,영남 피폐"라는 지역감정을
조장하는 악성 유언비어의 배경중 하나가 되고 있어 자칫 국론분열이라는
심각한 국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게다가 협상이 장기화되면서 삼성자동차가 가동을 중단하고 대우전자는
파업에 돌입하는 등 산업계에 혼란이 가중돼 어렵게 회복한 대외신인도에도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우려도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김대중 대통령이 "기업 구조조정에 정부가 개입했다"는 비판 가능성을
무릅쓰고 두 회사 총수들을 만난데서 사태의 심각성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실무 차원에서는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삼성-대우 빅딜은
급류를 탈 전망이다.
<> 청와대에서 무슨 얘기했나 =청와대 회동의 내용은 전혀 공개되지 않고
있다.
김 대통령은 대승적 견지에서 빅딜을 조기에 매듭지을 것을 당부했을
것이고 두 회장은 일단 빅딜을 조속히 완결짓겠다는 의지를 밝혔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건희 회장은 "선 경영권 인수, 후 실사"를 통해 공장부터 돌리고
봐야 한다는 입장을 전했다는 후문이다.
반면 김우중 회장은 삼성자동차를 넘겨받았을 경우 부담을 거론하면서
부채탕감이나 상환연기 등 채권단 지원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했을
것이라는게 재계 관계자들의 관측이다.
<> 선 경영권 인수, 후 실사 =조기 타결 방법으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은
일단 삼성자동차와 대우전자의 경영권을 넘기고 실사는 추후 진행하는 방법
이다.
김중권 비서실장, 강봉균 경제수석 등 청와대 고위관계자들은 이미 지난해
말부터 삼성자동차 공장 문제에 대해 정산은 뒤로 미루더라도 일단 공장의
조기가동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밝혀 왔다.
대우가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면서 경영권을 미리 넘겨받고 나중에 실사를
통해 정산을 한 것이 비슷한 사례다.
따라서 두 회장은 곧 다시 만나 담판을 통해 일괄타결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총수간 대타협이 아니고는 이번 빅딜을 성사시킬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부산 정서 달래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게 정부의 입장인 만큼 SM5를
계속 생산하는 방안도 검토될 수밖에 없다.
물론 이같은 방안에 대해 삼성은 "좋다"는 반응이지만 대우는 "껄끄럽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 빚은 어떻게 나누나 =빅딜 조기 타결을 위해서는 삼성이 부채를 좀더
떠안는 방안이 거론될 수 있다.
삼성자동차의 부채는 약 4조원.
삼성이 2조원을 훨씬 넘게 떠안게 된다.
대우와 쌍용이 쌍용자동차를 주고 받았을 때도 두 회사는 당초 부채
3조4천억원을 대우 2조원, 쌍용 1조4천억원씩 떠안기로 가계약을 맺고
경영권을 넘겼으나 추후 실사 결과 3천억원의 부채를 쌍용이 더 떠안게
됐었다.
이렇게 돼도 대우가 SM5를 추가로 생산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적자에 큰
부담을 안을 수 있다.
따라서 추후 SM5 생산으로 발생하는 적자는 두 그룹이 절반씩 나누는
방안도 검토될 수 있다.
물론 삼성자동차를 떠안는 대우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
이와 관련, 정부 고위관계자는 "빅딜 지연의 근본적인 이유가 삼성자동차
처리에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금감위 차원의 해결방안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금감위는 대우그룹이 삼성차를 인수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부채의
상환을 연장해 주거나 출자전환 등의 방법으로 자금동원 부담을 덜어주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대우전자의 빅딜 제외론도 제기되고 있다.
대우는 전자가 세계경영의 한개 축으로 내놓기 아까운데다 삼성도 받아
들이기 부담스러운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성-대우 빅딜은 우선 삼성자동차를 처리한뒤 대우전자 부분은
추후 협의하는 방안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게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 김정호 기자 jhkim@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9년 1월 25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