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그룹은 "빅딜" 계획의 타당성과 지원규모를 검토할 업종별 실무추진위가
좀더 해당 기업과 많은 대화를 나눠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이미 각 업종별로 국내외 평가기관의 실사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실무추진위가 이 작업에 공동 참여해 줄 것을 원하고 있다.

기업들이 업종별 실무추진위원회 활동에 이처럼 미덥잖은 시선을 보내는
것은 이들의 평가가 자칫 채권회수 등 금융권 편향으로 흐를 우려가
있다는데 있다.

지금과 같은 방식으론 해당기업의 능력과 의지는 경영개선계획서라는 "서면"
을 통해서만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경련 관계자는 "사업성을 금융기관이 평가할 능력이 있었다면 애초에
돈을 빌려 주지도 않았을 것"이라며 "시장전망과 생존 가능성에 대해서는
기업의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모업체 관계자도 "세계적으로 경제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에서 금융권이
사업계획의 타당성을 평가하기는 힘들다"며 항공 철차 유화 등 이미 실사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업종의 경우는 공동 실사로 판단의 객관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계는 특히 금융지원을 5대그룹의 워크아웃과 연계시키려는 금융권의
방침에 대해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7개 업종 가운데 이미 경영개선계획을 확정한 업종과
그렇지 않은 산업은 분리해 다뤄야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5대그룹의 워크아웃 선정이 끝난 다음에 빅딜업종의 금융지원규모를
확정한다면 해당 업종의 영업과 외자유치는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기업들은 그러나 이처럼 불만을 갖고 있으면서도 겉으로는 내색을 않고
있다.

개별적으로는 "건의"도 하지 않을 예정이다.

금융지원규모를 결정할 칼자루를 업종별 실무추진위원회가 쥐고 있기
때문이다.

< 권영설 기자 yskwon@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11월 11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