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세의 H씨는 약 1년전부터 온몸이 무기력해지고 피곤하기만 하더니
서서히 성욕이 감퇴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과중한 업무스트레스로 생각하고 정력을 좋게 한다는 약물을
사서 먹어봤지만 효험이 없었다.

부부생활이 끊긴지 6개월이 넘자 고민끝에 필자를 찾아왔다.

기본적인 검사를 해보니 별 이상은 없었다.

그러나 혈중 호르몬을 측정해보니 뇌하수체의 프로락틴 호르몬이 5배나
증가됐고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도 약간 떨어져 있었다.

뇌 컴퓨터단층촬영(CT)을 해보니 뇌하수체에 지름 8mm의 작은 종양이
생겼다.

프로락틴은 근심 걱정 분노 등의 스트레스, 약물남용, 뇌하수체종양에
의해 올라간다.

뇌하수체종양에 의해 프로락틴이 올라갔고 이로 인해 테스토스테론이 떨어진
것이다.

우선 프로락틴을 억제하는 브로모크립틴을 복용시켰더니 3개월째부터 성욕이
돌아오고 증세가 호전됐다.

남성호르몬의 지휘센터는 뇌의 시상하부에 있다.

시상하부는 신경전달물질과 고환으로부터 메시지를 받아 성선자극 호르몬을
방출한다.

이어 뇌하수체에서 고환으로 명령이 하달돼 고환에서 테스토스테론이
생성되고 다시 되먹이기(Feedback)기전에 따라 테스토스테론의 생산량이
자동조절된다.

이런 메카니즘에서 어느 한쪽이라도 잘못되면 호르몬균형이 깨져
생식능력이 약화된다.

또 한 예는 위.십이지장궤양으로 고생하던 45세의 L씨.

약물요법과 식사요법을 3개월전부터 꾸준히 해서 증상은 좋아졌는데 갑자기
성욕저하 발기부전 등의 성기능장애가 나타났다.

이유는 그가 복용하는 시메티딘이라는 궤양약에 있었다.

이약은 위산분비를 유도하는 히스타민의 수용체를 억제하는 약으로 남자에게
여성형유방 또는 성기능장애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음경해면체내의 히스타민 수용체가 억제되기 때문에 이같은 부작용이
나타난다고 추정되고 있다.

내과 주치의와 상의해서 다른 제산제로 바꿔보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해결책의 하나로 운동을 권했다.

그랬더니 정상으로 돌아왔다.

세계임포텐스학회가 보고한 바에 따르면 감기약 진통소염제 스테로이드제제
고혈압치료제 향정신성약물 신경안정제 등 3백16종의 거의 모든 약물이
발기부전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기능장애의 25%는 약물남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렇듯 성기능장애는 뇌하수체종양이나 약물남용에 의해 내분비계가 교란될
경우 나타나기 쉽다.

가능한 약을 적게 먹고 필요하면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에 따르는게
중요하다.

성기능에 이상이 있으면 우선 먹는 약에 문제가 없는지 점검해보고 약을
바꾸는 등 다른 대책을 찾아봐야 한다.

< 연세대 의대 영동세브란스병원 비뇨기과 교수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9월 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