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신사 등 채권매수기관들이 보증보험회사의 보증으로 회사채를 발행한
기업에 대해 조기 자금회수에 나설 경우 재계는 "자금대란"을 겪을게
뻔하다.

가뜩이나 기업 및 금융기관구조조정에 따른 신용경색으로 외부자금조달길이
막힌 상황에서 회사채를 발행했던 기업이 만기전에 회사채자금을 상환하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런 사태가 발생할 경우 5대계열기업군과 자금사정이 좋은 일부 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은 부도를 낼수밖에 없다.

대기업 재무담당자들은 한국 및 대한보증보험이 제공한 보증을 대체할
보증금융기관을 찾기도 쉽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런데도 대체보증이나 상환을 요구할 경우 경제가 마비될 것으로
우려했다.

실제로 올들어 5대그룹을 제외한 대부분의 대기업들은 보증 금융기관을
찾지 못해 회사채를 발행하지 못했다.

자산디플레이션심화와 투자심리위축으로 자산매각을 통한 자금조달도
여의치 않다.

더욱이 최근들어 금융기관들은 만기가 돌아온 대출금에 대해 무조건
회수하려는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다.

당장 외자유치는 꿈도 꿀 수 없는 상황이다.

기업입장에서는 하루하루를 꾸려가기도 버거울 지경이다.

때문에 정부가 보증보험회사를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든지 기업에 미칠
파장을 사전에 막는 조치가 나와야 한다고 재계는 주장하고 있다.

김태일 전경련상무는 "5대그룹을 제외하고는 회사채 차환발행은 물론
기업어음(CP)발행도 어려운 상황에서 채권보유기관마저 조기회수에 나서는
사태가 빚어져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발빠른 기업들은 보증보험회사 보증으로 발행한 회사채규모를
파악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 사정은 더욱 어렵다.

채권보유 금융기관들이 자금조기회수에 나설 경우 부도위험이 큰
중소기업이 대상기업으로 먼저 꼽힐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중소기업인들은 보증보험퇴출로 일어날 심각한 신용경색과
자금난을 우려해 뚜렷한 반대입장을 보이고 있다.

< 이익원 기자 iklee@ >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8월 14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