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정부청사 시대] (1) 한밭벌 '행정타운' 탈바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는 25일 통계청을 시작으로 8개 외청과 3개 기관 등 모두 11개 정부기관
이 대전으로 이전한다.
외청 배치계획안이 확정된지 13년만에, 공사착공 5년만에 이뤄지는
대역사다.
세종로와 과천에 이은 제3의 행정타운-대전청사시대-.
대전청사 시대는 과천 청사 이전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중앙정부기관의 지방 이전은 우선 이름뿐이었던 "지자체 시대"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
정부기관이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함으로써 영호남 지역에서 접근도
쉬워진다.
국토의 균형발전 및 수도권 기능분산이라는 동전의 앞 뒷면같은 과제 역시
이제는 차원을 달리해 추진될 수 있다.
청사 이전에 따른 문제도 적지 않다.
얼굴을 맞대고 업무를 봐야 하는 "한국식 관행"이 바뀌지 않는한 돈과
시간의 낭비가 따를게 틀림없다.
서울서 출퇴근 해야 하는 공무원들의 애로도 많을 것이다.
대전청사 이전은 이렇게 우리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몰고 올게 분명하다.
< 편집자 >
-----------------------------------------------------------------------
대이동은 시작됐다.
입주인원 4천1백여명이 사용할 물량 1만5백여t.
11t 대형트럭으로 9백57대를 동원해야 하는 초대형 이삿짐이 서서히
움직이고 있다.
총 3천1백57t으로 물량이 가장 많은 특허청의 경우 짐을 옮기는데에만
20여일이 걸린다.
11개 기관 전체로 보면 두달 열흘(72일)에 걸쳐 이삿짐을 날라야 한다.
움직여야 하는 것은 비단 관청의 이삿짐뿐만이 아니다.
공무원과 그 가족 등 서울을 떠나야 하는 1만3천여명의 개인 이삿짐까지
고려하면 전체 이동 규모는 더 늘어난다.
기업체의 대관업무 종사자나 변리사 등 해당기관과 관련된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대전행까지 감안한다면 이번 대이동은 상상하기 조차 힘들다.
6.25를 제외하면 말 그대로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옮겨가는 최대규모로
기록될 것이 틀림없다.
이전 규모가 워낙 메가톤급인 까닭에 그에 따른 준비도 철저하다.
대전청사관리소는 청사 시험운영을 일찌감치 끝낸 상태다.
이삿짐을 안전하게 나를 수 있게끔 승강기와 건물 바닥에 대한 보양작업도
마쳤다.
민원인을 위한 자동안내시스템 등 서비스 시설도 완벽하게 갖춰 놓았다.
입주기관들도 바쁘기는 마찬가지다.
선발대들이 매일같이 청사를 방문한다.
집기위치를 정하고 사무실 칸막이공사를 지시하느라 눈코뜰새가 없다.
철도청은 차량제어용 특수통신장비를 설치중이다.
공무원 가족맞이 준비도 "끝".
청사 바로 옆에 위치한 샘머리아파트는 지난 1일 첫 입주자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공무원용" 서울-대전간 통근열차도 만들어져 있다.
출근열차는 매일 새벽 6시25분 서울역에서, 퇴근열차는 신탄진역에서 저녁
7시10분에 각각 출발한다.
신탄진역서 청사까지는 셔틀버스가 운행된다.
대전은 이렇게 "준비된 제2행정수도"로서 손색이 없다.
하지만 "대전 신청사"가 갖는 의미는 이러한 물리적 표피적 측면에서만
찾을 성질의 것도 아니다.
"지방에 들어선 중앙정부"는 50년만의 혁명적 조처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평가다.
정부수립 이후 지속된 서울 일변도의 인식과 행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점에서 그렇다.
먼저 전국적인 관점에서 보면 <>수도권에 집중된 국가운영기능의 지방
분산 <>지역간 격차의 완화 <>행정서비스 이용의 형평성과 효율성 제고
<>수도권 이기주의(또는 우월주의)의 점진적인 감쇄 등 혁명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차원에서 봐도 <>국토의 중심에 위치한 대전을 행정도시로 웅비하게
하고 <>고용창출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가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수준을 서울에 근접케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물론 이같은 기대속에는 문제점도 많다.
무엇보다도 이전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많이 들게다.
사회적 코스트는 경제적 비용보다도 더 엄청날 것이라는게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전을 하다보면 "졸속 추진"이라든가 "정치적 논리에 따른 이전" 등 많은
비판도 따를 수 있다.
때문에 그 과정에서 드는 비용은 최소화하고 부작용들은 가급적 제거해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숙제를 잘 풀어야 청사이전에 따른 기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청사 이전이 훗날 행정적 반면교사 리스트에 오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금 대전 사람들은 바쁘다.
< 특별취재반 = 김화주 사회1부 차장(반장)
최승욱 김호영 차병석 기자
대전주재=이계주 기자 >
------------------------------------------------------------------------
[ 대전지사 / 취재망 대폭 보강 ]
한국경제신문사는 정부 제3청사시대 개막을 계기로 대전및 충청권지역의
취재망을 대폭 보강합니다.
3청사에 입주하는 정부 기관들의 정보와 동향을 독자 여러분들께 가장
깊이 있으면서도 신속 정확하고 전달하기 위해 대전 주재기자가 증원됩니다.
본사 편집국내에는 별도의 순회취재팀이 구성돼 이 지역의 이슈를 놓치지
않고 찾아가게 됩니다.
이와함께 대전지국의 영업망도 크게 확충, 판매 광고 등과 관련된 독자
서비스에 조금도 소흘함이 없도록 할 것입니다.
많은 성원 바랍니다.
대전지사 전화 (042)255-3382 팩스 (042)256-3382
광고접수는 전화 (042)222-2291-2, 팩스 (042)222-2293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23일자 ).
이 대전으로 이전한다.
외청 배치계획안이 확정된지 13년만에, 공사착공 5년만에 이뤄지는
대역사다.
세종로와 과천에 이은 제3의 행정타운-대전청사시대-.
대전청사 시대는 과천 청사 이전과는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중앙정부기관의 지방 이전은 우선 이름뿐이었던 "지자체 시대"에 힘을
실어줄 수 있다.
정부기관이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함으로써 영호남 지역에서 접근도
쉬워진다.
국토의 균형발전 및 수도권 기능분산이라는 동전의 앞 뒷면같은 과제 역시
이제는 차원을 달리해 추진될 수 있다.
청사 이전에 따른 문제도 적지 않다.
얼굴을 맞대고 업무를 봐야 하는 "한국식 관행"이 바뀌지 않는한 돈과
시간의 낭비가 따를게 틀림없다.
서울서 출퇴근 해야 하는 공무원들의 애로도 많을 것이다.
대전청사 이전은 이렇게 우리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몰고 올게 분명하다.
< 편집자 >
-----------------------------------------------------------------------
대이동은 시작됐다.
입주인원 4천1백여명이 사용할 물량 1만5백여t.
11t 대형트럭으로 9백57대를 동원해야 하는 초대형 이삿짐이 서서히
움직이고 있다.
총 3천1백57t으로 물량이 가장 많은 특허청의 경우 짐을 옮기는데에만
20여일이 걸린다.
11개 기관 전체로 보면 두달 열흘(72일)에 걸쳐 이삿짐을 날라야 한다.
움직여야 하는 것은 비단 관청의 이삿짐뿐만이 아니다.
공무원과 그 가족 등 서울을 떠나야 하는 1만3천여명의 개인 이삿짐까지
고려하면 전체 이동 규모는 더 늘어난다.
기업체의 대관업무 종사자나 변리사 등 해당기관과 관련된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대전행까지 감안한다면 이번 대이동은 상상하기 조차 힘들다.
6.25를 제외하면 말 그대로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옮겨가는 최대규모로
기록될 것이 틀림없다.
이전 규모가 워낙 메가톤급인 까닭에 그에 따른 준비도 철저하다.
대전청사관리소는 청사 시험운영을 일찌감치 끝낸 상태다.
이삿짐을 안전하게 나를 수 있게끔 승강기와 건물 바닥에 대한 보양작업도
마쳤다.
민원인을 위한 자동안내시스템 등 서비스 시설도 완벽하게 갖춰 놓았다.
입주기관들도 바쁘기는 마찬가지다.
선발대들이 매일같이 청사를 방문한다.
집기위치를 정하고 사무실 칸막이공사를 지시하느라 눈코뜰새가 없다.
철도청은 차량제어용 특수통신장비를 설치중이다.
공무원 가족맞이 준비도 "끝".
청사 바로 옆에 위치한 샘머리아파트는 지난 1일 첫 입주자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공무원용" 서울-대전간 통근열차도 만들어져 있다.
출근열차는 매일 새벽 6시25분 서울역에서, 퇴근열차는 신탄진역에서 저녁
7시10분에 각각 출발한다.
신탄진역서 청사까지는 셔틀버스가 운행된다.
대전은 이렇게 "준비된 제2행정수도"로서 손색이 없다.
하지만 "대전 신청사"가 갖는 의미는 이러한 물리적 표피적 측면에서만
찾을 성질의 것도 아니다.
"지방에 들어선 중앙정부"는 50년만의 혁명적 조처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치된 평가다.
정부수립 이후 지속된 서울 일변도의 인식과 행태에서 벗어나게 하는
점에서 그렇다.
먼저 전국적인 관점에서 보면 <>수도권에 집중된 국가운영기능의 지방
분산 <>지역간 격차의 완화 <>행정서비스 이용의 형평성과 효율성 제고
<>수도권 이기주의(또는 우월주의)의 점진적인 감쇄 등 혁명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차원에서 봐도 <>국토의 중심에 위치한 대전을 행정도시로 웅비하게
하고 <>고용창출과 지역 경제의 활성화가 기대되며 <>궁극적으로는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수준을 서울에 근접케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물론 이같은 기대속에는 문제점도 많다.
무엇보다도 이전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많이 들게다.
사회적 코스트는 경제적 비용보다도 더 엄청날 것이라는게 관계자들의
지적이다.
이전을 하다보면 "졸속 추진"이라든가 "정치적 논리에 따른 이전" 등 많은
비판도 따를 수 있다.
때문에 그 과정에서 드는 비용은 최소화하고 부작용들은 가급적 제거해야
하는 숙제가 남아 있다.
숙제를 잘 풀어야 청사이전에 따른 기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은 물론
이다.
청사 이전이 훗날 행정적 반면교사 리스트에 오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금 대전 사람들은 바쁘다.
< 특별취재반 = 김화주 사회1부 차장(반장)
최승욱 김호영 차병석 기자
대전주재=이계주 기자 >
------------------------------------------------------------------------
[ 대전지사 / 취재망 대폭 보강 ]
한국경제신문사는 정부 제3청사시대 개막을 계기로 대전및 충청권지역의
취재망을 대폭 보강합니다.
3청사에 입주하는 정부 기관들의 정보와 동향을 독자 여러분들께 가장
깊이 있으면서도 신속 정확하고 전달하기 위해 대전 주재기자가 증원됩니다.
본사 편집국내에는 별도의 순회취재팀이 구성돼 이 지역의 이슈를 놓치지
않고 찾아가게 됩니다.
이와함께 대전지국의 영업망도 크게 확충, 판매 광고 등과 관련된 독자
서비스에 조금도 소흘함이 없도록 할 것입니다.
많은 성원 바랍니다.
대전지사 전화 (042)255-3382 팩스 (042)256-3382
광고접수는 전화 (042)222-2291-2, 팩스 (042)222-2293
( 한 국 경 제 신 문 1998년 7월 23일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