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내년 총선 인재로 영입하기로 한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가 수원정 지역구 출마 의지를 밝혔다.
이 교수는 5일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나는 가진 것이 많기 때문에 험지로 간다"며 "수원은 언제나 민주당이 지배적이었다.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험지"라고 말했다.
'가진 것이 많다'는 의미에 대해선 "25년 간 밥벌이했고, 사회적 지위도 있다. 가족도 있고 집도 있고 가진 것이 많다"며 "험지라도 자기희생을 하고, 애정이 있는 곳으로 간다"고 부연했다.
이 교수는 "한 달 전쯤 (영입) 제안을 받았다. 비례나 좀 조용하게 가고 싶었는데, '그건 안 되겠다. 당을 위해 헌신을 해라' 이런 요구를 받았다"며 "내 연고지라는 것이 뻔하다. 사는 곳 아니면 학교"라고 덧붙였다.
수원정은 이 교수가 재직 중인 경기대 후문이 위치한 지역구다.
그는 "최근엔 신도시가 됐지만, 이전에는 거의 허허벌판이었다. 나는 화성 연쇄살인 현장부터 누볐던 사람"이라며 "수원이라는 도시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기억 속에 모두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희망 사항은 수원정이지만, 일단 당내에서 조정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사진=연합뉴스)
이휘경기자 ddehg@wowtv.co.kr
순천시 단독 2개 선거구…서부권 '흐림'·동부권 '맑음'
전남 총 선거구수 10개 변화 없어…국회 결정 주목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가 5일 국회에 제출한 제22대 총선에 적용될 선거구 획정안에 따라 현행 전남 영암군·무안군·신안군이 '공중분해' 됐다.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는 이날 목포시, 나주시·화순군, 해남·완도·진도군, 영암군·무안군·신안군을, 목포시·신안군, 나주시·화순·무안군, 해남·영암·완도·진도군으로 통합했다.
현행 영암·무안·신안군 선거구를 해체해 목포시와 나주시·화순군, 해남·완도·진도군에 각각 떼어 붙인 것이다.
이 안이 확정되면 전남 서남부권 선거구는 4개에서 3개로 줄어든다.
이곳은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 지역구로 총선을 4개월 앞두고 해체될 위기에 놓이면서 해당 지역에서 총선을 준비하는 정치인들은 비상이 걸렸다.
또 지역이 추가된 선거구에서 바닥을 다지고 있는 정치인들도 민심 공략 등 선거 전략을 다시 짜야 하는 부담도 안게 됐다.
민주당 신정훈 전남도당위원장은 "국민의힘 의견만 반영된 편파적인 선거구획정안을 거부한다"며 "합리적이고 균형적인 안을 다시 제시할 것을 촉구한다"고 반발했다.
민주당 관계자도 "서남부권 선거구가 대폭 조정되면서 정치인들의 이해관계가 크게 엇갈리게 됐다"며 "국회에서 획정안이 최종 통과될지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갑, 을 선거구는 순천시 갑, 을과 광양시·곡성·구례군으로 분구되면서 순천시는 단독으로 2개 선거구를 갖게 됐다.
순천시 주민 차모씨는 "순천시 인구와 지역 특색을 감안하면 오래전에 2개 선거구가 돼야
신상보다 사법부 수장 적임 여부 검증…野, 이재명 수사 檢 압수수색 비판도
국회 인사청문특별위원회의 5일 조희대 대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여야는 '사법부 편향성', '재판 지연' 문제 등을 거론하며 자질과 도덕성 등을 검증했다.
청문회 준비 기간 조 후보자에 대한 신상 관련 의혹 제기가 사실상 없었던 만큼, 앞선 이균용 전 대법원장 후보자 청문회 때와는 달리 여야 모두 대체로 사법부 수장으로서 적임자인지 따져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국민의힘은 대법원장 공백 사태 72일째인 이날 청문회에서 김명수 전 대법원장 체제를 비판하며 조 후보자에게 사법부 정상화를 당부했다.
유상범 의원은 "김명수 대법원 체제에 대한 평가는 법원 내 코드 인사와 편 가르기, 심각한 재판 지연, 재판의 정치적 편향성과 공정성 시비 등 부작용만 낳았다는 것"이라며 "조 후보자는 김명수 대법원장 체제에서 보여줬던 법원의 불신 같은 부분을 일소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김형동 의원은 "재판 지연이 가장 많이 일어난 게 김명수 대법원장 시절"이라며 "민주당에서 무소속이 된 최강욱 의원은 기소된 지 3년 8개월 만에 확정판결을 받았지만, 당선무효가 된 (국민의힘) 김선교 전 의원은 3개월 만에 아웃됐다.
윤미향 의원은 1심에 1년 5개월이 걸렸고,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은 2심에 그대로 있다"고 지적했다.
전주혜 의원은 "유독 지연된 재판의 수혜는 문재인 정부 관계자들, 아니면 민주당 인사들만 지금 누리고 있다"며 "국민은 재판 결과를 보고 '법원이 특정 정당의 편을 드나?', '특정 정부의 하수인인가?' 이런 생각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정성호 의원은 "김명수 대법원장 체제의 사법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