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점을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정무장관실이 14일 현대리서치연구소와 한국여성개발원에
의뢰, 국내 1백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기업의 여성인력 활용 현황과
정책과제"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에서 밝혀졌다.
이 조사에서 여성 채용 기피 이유를 묻는 질문에 대해 28.0%가 회사에
대한 몰입도가 낮은 점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쉽게 그만둠(14.0%) <>야근이나 출장에 제한받음(13.5%)
<>조직 적응력이 약함(13.5%) <>할 수 없는 분야 있음(11.0%) 순이었다.
쉬는날이 남자보다 많기 때문이라거나 비용이 더 들기 때문이라는 응답은
각각 7.5%와 7.0%에 그쳤다.
여성개발원은 이에 대해 여성 고용 기피는 근본적으로 산전.후휴가나
육아휴가와 같은 모성보호비용 부담 때문이 아니라 여성인력의 매력 부족
때문으로 풀이했다.
1백대 기업의 최근 1년간 여성채용비율은 평균 26.4%였다.
특히 도소매업(37.2%)과 금융업(38.5%)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난 반면
비금속제조업(17.4%)과 금속제조업(17.7%)에서는 평균을 밑돌았다.
모집이나 채용과정에서 여성을 차별하는 기업은 30.5%에 달했다.
10개 기업중 3개꼴로 응모자격 또는 채용분야를 제한함으로써 여성을
기피하고 있는 셈이다.
퇴직 여사원이 재입사를 희망할 경우 우선적으로 재고용한다는 응답은
39.0%에 그쳤다.
특히 전기 운수 건설업과 금융서비스의 경우 우선적으로 입사시킬 수
없다는 응답이 각각 77.8%와 66.7%에 달했다.
승진 조건에 있어서는 남녀간 차이가 없다는 응답이 대부분(97.0%)이었다.
그러나 승진 속도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느리다고 답한 기업이 45.3%에
이르렀다.
여성간부를 육성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있다"는 응답(51사)
과 "없다"는 응답(49사)이 비슷했다.
여성간부를 육성코자 하는 이유는 "능력있는 여성을 활용하기 위해"라는
응답이 94.1%를 차지했다.
한편 조사결과를 분석한 여성개발원 김태홍 연구위원은 여성인력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정책과제로 <>여성고용정보 전산화 <>공무원 및 공공부문 여성
채용 확대 <>산전.후휴가 사회보험화 <>공공보육시설 증설 <>보육시설 투자에
대한 세액공제율 인상 등을 제안했다.
< 김광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1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