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5일 김정일 사진 "훼손"을 빌미로 신포 경수로부지 정지작업이
중단된 것과 관련, 정확한 진상파악에 나서는 한편 경수로사업의 원만한
진행을 위한 북측의 성의있는 조치를 촉구키로 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삼청동 소재 경수로기획단 사무실에서 장선섭 단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회의를 열어 사실확인에 나서는 한편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측에 신포에 있는 우리 근로자의 신변안전 및
보장을 거듭 요청키로 했다.

기획단 관계자는 "북한은 지난달 30일 금호지구 사업장 인근 우리측
근로자 임시숙소에서 김정일 사진이 실린 노동신문이 찢긴채 휴지통에서
발견된 사건을 "지도부를 모독한 심각한 행위"라고 주장, 항의와 함께
사과를 요구해왔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북한당국은 2일 30여명의 북측 근로자들을 철수시키고
신변안전을 보장할 수 없다는 이유로 우리 근로자들이 작업장으로 이동하는
것을 통제, 경수로부지 정지작업이 중단됐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현지 우리 대표를 통해 보고난 신문을 자유롭게 처분하는
것은 우리의 관행이기 때문에 북한의 사과요구는 받아들일 수 없으며 작업장
통행제한 등은 KEDO와 북한간 합의사항에 위배되는 것이라고 강력히
항의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 우리 근로자들은 임시숙소에서 안전하게 지내고
있다"면서 "4일부터 일시 중단됐던 양화항에서의 하역작업과 통관이
재개됐고 부분적인 작업장 접근이 가능해졌으나 전면적인 작업재개는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현재 금호지구 현장에서 공사가 진행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7일 파견할 예정이었던 24명 규모의 제8차 부지조사단은 보내지 않고
사태추이를 지켜볼 예정"이라며 "공사재개 여부는 6일께 알 수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 이건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