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지역건설업계] (3) '대구' .. '어음막기 급급'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5월 2일 한서주택의 부도는 대구지역 건설 업체들을 도미노식 연쇄
부도의 공포로 몰아넣었다.
한서는 지난해 신용보증기금이 실시한 자산평가에서 지역 건설업체중에서는
드물게 A등급을 받은 회사.
그러나 96년 2월 도산위기에 있던 삼산주택의 보증회사로 사업을 인수한
후 주택경기 침체와 자금경색으로 결국 끝내 부도를 내고 말았다.
한서의 부도는 삼산주택을 공동으로 인수한 태성이 지난 2월에 부도를
내고 협화 에덴 주택 등 서로 보증관계로 얽혀있던 회사들이 잇따라 부도를
내거나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연쇄 부도 양상으로 발전했다.
대구지역에는 상호 보증관계에 있는 이들 업체들의 부도 순위표까지 나돌
정도로 사태는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같은 부도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94년 부터 발생하기 시작한 미분양
아파트가 96년에는 사상최고치인 7천5백여세대를 기록할 정도로 극심한 경기
부진때문.
여기에다 입주예정자들은 부도를 우려해 중도금 납부를 지체했고 금융기관
들도 자금회수에 나서면서 어려움이 더욱 가중됐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중견업체들의 연쇄도산은 바로 하청업체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대구지역의 건설업 부도업체 수가 지난해의 월평균 7개에서
올해들어서는 15개로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부도의 가장 큰 피해자는 하청업체와 입주자들.
하청업체들은 공사대금으로 받은 어음이 휴지조각이 됐고 입주자들의 내집
마련의 꿈도 산산히 무너져내렸다.
대구시청앞 광장은 이들의 시위로 날을 지세울 정도로 사태는 심각해졌다.
한서부도 이후 2군업체(등록업체)들은 아파트 분양을 사실상 포기했다.
사업을 시작해도 초기 분양률이 30%에도 미치지 못할뿐 아니라 자칫하면
바로 도산으로 이어지기 때문.
대구지역에서 아파트 공사에 나서는 등록업체는 2~3개정도.
그나마 지명도가 있는 1군업체(지정업체)와 공동사업이 고작이다.
최근 부도가 난 남경의 경우 이미 확보해둔 수성구 매호동 요지의 땅
3천여평에 대형업체와 공동사업으로 아파트를 지으려 했으나 과도한 담보
설정으로 파트너를 구하지 못해 결국 부도를 내고 말았다.
사태가 이 지경이 되고 보니 건설업체들은 하루하루 돌아오는 어음막기에
급급한 아슬아슬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대형업체들조차 부도에 관한 루머가 하루도 끊이지를 않고 이를 해명하느라
회사 관계자들은 진땀을 흘리고 있다.
"대구지역에 있는 1백30여개 일반 건설업체 중 절반 이상이 문을 닫는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릅니다"(C건설 김모이사).
그는 최근 수주 격감으로 손익분기점 미달업체가 지난해의 75%선에서
올해는 85%선을 넘어서고 있다고 분석하고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상대적으로 형편이 좋은 대형업체들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
주택보급률이 80%에 이르고 있는데다 분양성이 좋은 도심에서는 더 이상
대규모 택지를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방업체의 자금사정이 악화되면서 도심의 택지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아파트 재개발 사업도 지방건설업체들이 대기업에 밀리고 있다.
대구 최대의 재개발사업으로 꼽히는 황금주공아파트의 사업권이 대우 대림
등 대기업으로 넘어간 것도 이같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지역업체들은 결국 고정비라도 충당하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적자사업을
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면서 경비절감을 위한 조직 슬림화도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다.
청구는 계열사인 청구산업개발과 관리부문을 통합했고 보성도 영업위주의
경영을 위해 관리부서 통합을 준비중이다.
"새로운 사업으로 SOC사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성수대교 붕괴사건
등으로 PQ(사전품질검사제)가 도입되면서 대형공사 경험이 없는 지방업체의
경우 수주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H건설 이모상무).
그는 지방업체의 경우 사업권 보호를 위한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이 시급
하다고 지적했다.
김영창 대구시 주택건설국장은 "현재의 상태에서는 상당수 업체의 도산이
불가피한 만큼 대형공사 발주권의 지방정부 이관과 PQ제도시행시 지방업체에
대한 배려를 늘이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신경원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2일자).
부도의 공포로 몰아넣었다.
한서는 지난해 신용보증기금이 실시한 자산평가에서 지역 건설업체중에서는
드물게 A등급을 받은 회사.
그러나 96년 2월 도산위기에 있던 삼산주택의 보증회사로 사업을 인수한
후 주택경기 침체와 자금경색으로 결국 끝내 부도를 내고 말았다.
한서의 부도는 삼산주택을 공동으로 인수한 태성이 지난 2월에 부도를
내고 협화 에덴 주택 등 서로 보증관계로 얽혀있던 회사들이 잇따라 부도를
내거나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연쇄 부도 양상으로 발전했다.
대구지역에는 상호 보증관계에 있는 이들 업체들의 부도 순위표까지 나돌
정도로 사태는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다.
이같은 부도 사태의 가장 큰 원인은 94년 부터 발생하기 시작한 미분양
아파트가 96년에는 사상최고치인 7천5백여세대를 기록할 정도로 극심한 경기
부진때문.
여기에다 입주예정자들은 부도를 우려해 중도금 납부를 지체했고 금융기관
들도 자금회수에 나서면서 어려움이 더욱 가중됐다.
지난해부터 계속된 중견업체들의 연쇄도산은 바로 하청업체들에게도
영향을 미쳐 대구지역의 건설업 부도업체 수가 지난해의 월평균 7개에서
올해들어서는 15개로 2배 가까이 늘어났다.
부도의 가장 큰 피해자는 하청업체와 입주자들.
하청업체들은 공사대금으로 받은 어음이 휴지조각이 됐고 입주자들의 내집
마련의 꿈도 산산히 무너져내렸다.
대구시청앞 광장은 이들의 시위로 날을 지세울 정도로 사태는 심각해졌다.
한서부도 이후 2군업체(등록업체)들은 아파트 분양을 사실상 포기했다.
사업을 시작해도 초기 분양률이 30%에도 미치지 못할뿐 아니라 자칫하면
바로 도산으로 이어지기 때문.
대구지역에서 아파트 공사에 나서는 등록업체는 2~3개정도.
그나마 지명도가 있는 1군업체(지정업체)와 공동사업이 고작이다.
최근 부도가 난 남경의 경우 이미 확보해둔 수성구 매호동 요지의 땅
3천여평에 대형업체와 공동사업으로 아파트를 지으려 했으나 과도한 담보
설정으로 파트너를 구하지 못해 결국 부도를 내고 말았다.
사태가 이 지경이 되고 보니 건설업체들은 하루하루 돌아오는 어음막기에
급급한 아슬아슬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대형업체들조차 부도에 관한 루머가 하루도 끊이지를 않고 이를 해명하느라
회사 관계자들은 진땀을 흘리고 있다.
"대구지역에 있는 1백30여개 일반 건설업체 중 절반 이상이 문을 닫는
상황이 발생할지도 모릅니다"(C건설 김모이사).
그는 최근 수주 격감으로 손익분기점 미달업체가 지난해의 75%선에서
올해는 85%선을 넘어서고 있다고 분석하고 앞으로가 더 걱정이라고 우려했다.
상대적으로 형편이 좋은 대형업체들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
주택보급률이 80%에 이르고 있는데다 분양성이 좋은 도심에서는 더 이상
대규모 택지를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지방업체의 자금사정이 악화되면서 도심의 택지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인 아파트 재개발 사업도 지방건설업체들이 대기업에 밀리고 있다.
대구 최대의 재개발사업으로 꼽히는 황금주공아파트의 사업권이 대우 대림
등 대기업으로 넘어간 것도 이같은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지역업체들은 결국 고정비라도 충당하기 위해 울며 겨자먹기로 적자사업을
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면서 경비절감을 위한 조직 슬림화도 유행병처럼
번지고 있다.
청구는 계열사인 청구산업개발과 관리부문을 통합했고 보성도 영업위주의
경영을 위해 관리부서 통합을 준비중이다.
"새로운 사업으로 SOC사업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성수대교 붕괴사건
등으로 PQ(사전품질검사제)가 도입되면서 대형공사 경험이 없는 지방업체의
경우 수주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H건설 이모상무).
그는 지방업체의 경우 사업권 보호를 위한 제도적인 장치의 마련이 시급
하다고 지적했다.
김영창 대구시 주택건설국장은 "현재의 상태에서는 상당수 업체의 도산이
불가피한 만큼 대형공사 발주권의 지방정부 이관과 PQ제도시행시 지방업체에
대한 배려를 늘이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신경원 기자>
(한국경제신문 1997년 10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