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자 : 이희재
** 선정 : 한경서평위원회
** 출판 : 김영사
======================================================================
20세기 냉전의 종식과 21세기 탈냉전의 국제질서를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와 패러다임이 제시돼 국제적인 논쟁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논쟁의 절정은 "문명의 충돌" 저자인 새뮤얼 헌팅턴 교수가
93년 여름 "포린 어페어즈"지에 기고한 같은 제목의 논문이었다.
저자가 당시 다룬 핵심적인 주제들은 문명 사이의 세력균형 변화와
서구 문명의 보편성이 야기하는 갈등, 이슬람의 호전성등이었다.
이 논문은 기존의 정치경제적 관점에서의 국제정치사 서술을 정면으로
거부하고 문명사적 관점에서 새롭게 국제질서의 변화를 다뤘다는 점에서
큰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그 연장선상에서 저술된 이 책은 "문명과 문명의 충돌은 세계 평화에
가장 큰 위협이 되며 문명에 바탕을 둔 국제질서만이 세계대전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어수단이다"는 문제의식에서 집필된 것이다.
그가 사용하고 있는 문명의 개념은 야만과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문명이
아니라 언어 종교 등 여러가지 문화적 특질의 집합체로서 세계 여러지역에
자리잡아 온 문명권들을 말한다.
그에 따르면 문명은 먼저 종교에 따라 구분된다.
기독교권, 그리이스 정교권, 이슬람권, 유교권, 불교권 등이 그것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사상 최초로 세계정치가 다극화, 다문명화됐고
이 과정에서 서구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아시아 문명의
경제력 군사력 정치력이 확대됐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접근은 실제로 탈냉전의 21세기가 도래하면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국가들이 세계무대의 주역이 되고 있는 현실적 흐름을 정확히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나아가 저자는 21세기 국제분쟁의 가능성을 국지적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는 이슬람권과 비이스람권 사이의 분쟁에서 찾고 있다.
국제질서의 변화에 여전히 결정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 정치경제적
변수에 대한 상대적 소홀과 서구적 시각에 대한 집착에서 오는 아시아
국가들 내면의 문화적 독특성에 대한 이해의 부족, 그리고 특별히 이슬람
문화의 호전성을 강조한 점등은 여전히 논란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인 헌팅턴 교수는 일찍이 "포린 폴리시"라는 저명한
외교잡지를 창간한 바 있으며 미국 정치학회 회장등을 역임한 석학이다.
더욱이 정치경제학적 패러다임과 저널리스틱한 예측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한국의 지적 풍토속에서 문명사적 관점에서 저술한 이 책은 한번쯤
필독을 요하는 미래서가 아닐수 없다.
최성 < 고려대강사.정치학 >
(한국경제신문 1997년 6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