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지역에 있는 대부분의 공동 묘지가 거의 들어찬 가운데 지역
주민들의 반발로 신규 설립이 극히 부진, 서울 경기 일원 주민들에게
묘자리 공급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이에 따라 일부 사설묘지에서는 비석 등 석물을 끼워 넣기로 강매하는
등 불법영업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20일 보건복지부와 공사설묘지관리업소에 따르면 서울 경기 일원의
공사설집단 묘지 1백1개중 90년대 들어 새로 만들어진 곳은 공설 3개와
사설 2개 등 모두 5개에 불과,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설묘지의 경우 지난 90년대초 경기도 평택 시흥 이천지역에 각각
공동묘지가 설립됐으나 일정기간동안 이 지역에 거주한 주민들만 묘지를
쓸 수 있어 다른 지역주민은 사용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사설묘지는 90년대 들어 동두천 (한국공원묘원)과 파주 (동화경모공원)에
각각 허가가 났을뿐이다.

그나마 동두천의 한국공원묘원은 묘지 1기를 쓴 뒤 폐쇄됐다.

이처럼 묘지의 신규 설립이 부진한 가운데 60-70년대에 조성된 대부분의
집단묘지는 만장되거나 95%이상 들어차 묘자리 사실상 동난 상태다.

일부 사설묘지에서는 이같은 점을 이용, 상석 비석 테두리석 등 각종
석물을 강매하고 있다.

또 가격도 천차만별이어서 경기도 Y묘지는 6평묘지에 석물 2백60만원을
포함해 4백만원을, S공원의 경우 8백60만원 (석물 3백30만원)을 받고 있다.

또 묘자리가 턱없이 모자라다보니 국유지나 공유지를 무단 점유해
사설묘지를 조성, 분양하는 사례도 발생하고있다.

최근 최영일씨(55) 등 2명은 경기도 양평군 무당리 일대의 국유지에
묘지터를 만들어 분양하다가 경찰에 붙잡히기도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석물은 판매를 강요할 수 없는 선택조항이나 워낙
묘지를 구하기가 어렵다 보니 이같은 현상이 일부 발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서울에 사는 사람들이 명절때 성묘가기도 힘들고
관리하기도 어려운 지방보다는 경기도 인근 지역을 선호해 충남 아래
지역의 집단 묘지는 비고 서울 경기지역은 꽉차는 이중화 현상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 조주현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