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빅뱅] (1) '진입장벽 완화' .. 연내 20여사 신규 설립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
증권업계의 판도변화가 예상된다.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업무가 자율화되는게 가장 큰 변수다.
증권서비스의 질이 좋아지겠지만 한편으로 경쟁력없는 증권사들은 도태되고
증권사간 인수합병(M&A)이 크게 늘어날 것이다.
수수료 자율화와 M&A 제도정비도 적잖은 파장을 몰고올 전망이다.
업계 전반에 닥칠 "증권 빅뱅"의 영향과 업계의 대책에 대해 시리즈로
점검해본다.
<< 편집자 >>
=======================================================================
정부가 증권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에서 내놓은 증권산업 개편안은 증권시장
진입장벽의 제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98년으로 예정된 증권산업 전면 개방에 앞서 증권업체들의 체질 강화에
나서겠다는 것.
업무영역별로 자본금 요건을 차등화, 위탁매매업무만을 전담할 소형 증권사
들마저 설립가능토록 했다.
이에 따라 4월부터 중소형 증권사들이 우후죽순격으로 생겨날 전망이다.
우선 정부는 증권업허가 심사기준을 구체화하면서 그동안 증권업 진출을
규제하던 방침을 바꿔 별다른 규제없이 증권사 설립이 가능토록 했다.
당장 현재의 요건만으로도 <>30대 재벌의 경우 롯데 등 6~7곳 <>은행은
상업은행 등 5곳 <>보험사는 대한생명 등 3곳 <>일반기업 20여곳 등 모두
40개사들이 증권사를 설립할수 있게 됐다.
실제로 재정경제원에서도 올해안에 20개사 정도가 새로 설립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게다가 시행령 개정안에서는 자본금 1백억원으로 위탁매매업을 할수 있는
브로커리지 전문 소형 증권사들도 허용하고 있다.
더군다나 행정쇄신위원회는 자본금 1억원짜리 초소형 증권사마저 허용하라고
건의하는 상황이다.
앞으로 주식매매 중개만 전담하는 "디스카운트 브로커"들도 나타날 전망
이다.
증권거래소에 회원등록을 하지 않고 대형증권사들을 경유해 주식매매만을
중개하고 수수료를 할인해 주는 형태이다.
점포를 늘릴 필요도 없고 투자분석부 등 리서치센터도 두지 않고 컴퓨터
통신망 등으로 영업을 해나간다는 것.
이같은 경영환경 변화에 대해 증권업계에서는 한마디로 "대책이 없다"
(D증권 S이사)며 당황하고 있다.
점포와 인력이 많은 "공룡" 증권사들은 감량경영이 어려워 소형 증권사들의
무차별 공세에 당할수밖에 없다는 불안감이다.
그래서 증권사들은 체질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인력낭비를 줄이기 위해 신규인력 채용을 줄이고 있다.
기존 인력의 재배치에도 나서고 있다.
쌍용 동양 한화 등은 영업지원부서의 3분의 1을 영업인력으로 재배치했다.
대우증권 등은 영업력 강화를 위해 연봉제 등 인센티브제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현대증권은 투자은행으로 체질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동서증권은 장외등록 등 주간사업무의 특화에 나서고 있다.
업무특화와 수익원 다변화에 앞서는 강한 자만이 살아남을수 있다는게
증권업계의 공통된 견해이다.
< 정태웅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17일자).
증권업계의 판도변화가 예상된다.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업무가 자율화되는게 가장 큰 변수다.
증권서비스의 질이 좋아지겠지만 한편으로 경쟁력없는 증권사들은 도태되고
증권사간 인수합병(M&A)이 크게 늘어날 것이다.
수수료 자율화와 M&A 제도정비도 적잖은 파장을 몰고올 전망이다.
업계 전반에 닥칠 "증권 빅뱅"의 영향과 업계의 대책에 대해 시리즈로
점검해본다.
<< 편집자 >>
=======================================================================
정부가 증권거래법 시행령 개정안에서 내놓은 증권산업 개편안은 증권시장
진입장벽의 제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98년으로 예정된 증권산업 전면 개방에 앞서 증권업체들의 체질 강화에
나서겠다는 것.
업무영역별로 자본금 요건을 차등화, 위탁매매업무만을 전담할 소형 증권사
들마저 설립가능토록 했다.
이에 따라 4월부터 중소형 증권사들이 우후죽순격으로 생겨날 전망이다.
우선 정부는 증권업허가 심사기준을 구체화하면서 그동안 증권업 진출을
규제하던 방침을 바꿔 별다른 규제없이 증권사 설립이 가능토록 했다.
당장 현재의 요건만으로도 <>30대 재벌의 경우 롯데 등 6~7곳 <>은행은
상업은행 등 5곳 <>보험사는 대한생명 등 3곳 <>일반기업 20여곳 등 모두
40개사들이 증권사를 설립할수 있게 됐다.
실제로 재정경제원에서도 올해안에 20개사 정도가 새로 설립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게다가 시행령 개정안에서는 자본금 1백억원으로 위탁매매업을 할수 있는
브로커리지 전문 소형 증권사들도 허용하고 있다.
더군다나 행정쇄신위원회는 자본금 1억원짜리 초소형 증권사마저 허용하라고
건의하는 상황이다.
앞으로 주식매매 중개만 전담하는 "디스카운트 브로커"들도 나타날 전망
이다.
증권거래소에 회원등록을 하지 않고 대형증권사들을 경유해 주식매매만을
중개하고 수수료를 할인해 주는 형태이다.
점포를 늘릴 필요도 없고 투자분석부 등 리서치센터도 두지 않고 컴퓨터
통신망 등으로 영업을 해나간다는 것.
이같은 경영환경 변화에 대해 증권업계에서는 한마디로 "대책이 없다"
(D증권 S이사)며 당황하고 있다.
점포와 인력이 많은 "공룡" 증권사들은 감량경영이 어려워 소형 증권사들의
무차별 공세에 당할수밖에 없다는 불안감이다.
그래서 증권사들은 체질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인력낭비를 줄이기 위해 신규인력 채용을 줄이고 있다.
기존 인력의 재배치에도 나서고 있다.
쌍용 동양 한화 등은 영업지원부서의 3분의 1을 영업인력으로 재배치했다.
대우증권 등은 영업력 강화를 위해 연봉제 등 인센티브제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
현대증권은 투자은행으로 체질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동서증권은 장외등록 등 주간사업무의 특화에 나서고 있다.
업무특화와 수익원 다변화에 앞서는 강한 자만이 살아남을수 있다는게
증권업계의 공통된 견해이다.
< 정태웅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1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