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공동인수도 한 방법 .. 한보철강 처리 제3안 제기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보철강의 향후 처리방안과 관련, 제3자인수와 국민기업화 등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업계 일각에선 기존 철강업계의 공동인수 방안도 조심스럽게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2일 "대기업중 딱히 인수 희망자가 없고 국민기업화
도 국민부담이란 비판 때문에 어렵다면 철강업계가 컨소시엄 형태로
한보철강을 공동 인수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기존 철강업계가 당진제철소를 공동 인수하면 냉연과 강관
업체는 열연강판등 원료의 안정적인 확보라는 면에서, 전기로 업체들은
미니밀 코렉스등 신기술 습득 기회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냉연및 강관업체와 전기로 업체들이 인수주체가 된다면 동부제강 연합철강
인천제철 강원산업 동국제강 한국철강등이 주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포철과 중소철강 메이커들도 공동인수단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냉연업체의 한 관계자도 "다른 철강사들이 동의한다면 부담도 크지 않아
한보철강 공동인수를 검토해볼 수 있다"며 "인수참여 업체들이 각자 지분
만큼씩 열연강판을 분배 받는다면 지금의 원료확보 애로도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럴 경우 한보철강의 대표 경영인은 철강분야 전문가로
선임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는 형태가 바람직 하다"고 덧붙였다.
물론 철강업체들의 한보철강 공동인수 방안은 아직 업계의 중지가 모아진
사안은 아니다.
일부 업체들이 아이디어 차원에서 제기하고 있는 정도다.
게다가 실현 가능성 여부에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우선 지금의 한보철강 재무상태로는 아무리 공동인수를 한다해도 정상화가
어렵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공동인수를 희망하는 업체라 할지라도 사실은 "더 많은 특혜"가
주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만큼 절대적 대안이 될수는 없다는 것이다.
여기다 업체들간 경영권 시비 소지도 무시못할 난제다.
철강업체들이 비슷한 지분만큼씩 공동으로 한보철강을 소유할 경우 경영권
을 둘러싼 업체간 마찰 가능성이 커 순조로운 경영 정상화가 되겠느냐는
얘기다.
한 전기로 업체 관계자는 "부실화될 대로 부실화된 한보철강의 경우
전문적 식견과 리더십을 갖춘 주인이 주도적으로 경영을 해도 정상화
여부가 불투명한데 주인없는 회사를 만들겠다는 생각은 너무 이상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업계 일각에선 제3자인수가 특혜시비와 인수자 선정 어려움으로
안되고 국민기업화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 그 다음 대안으로 철강업계
공동인수방안은 검토해 볼만하다는 입장인 셈이다.
실현 가능성 여부를 떠나 철강업계 공동인수 방안에 이목이 집중되는 것도
이런 이유다.
< 차병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3일자).
있는 가운데 업계 일각에선 기존 철강업계의 공동인수 방안도 조심스럽게
제기돼 관심을 끌고 있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2일 "대기업중 딱히 인수 희망자가 없고 국민기업화
도 국민부담이란 비판 때문에 어렵다면 철강업계가 컨소시엄 형태로
한보철강을 공동 인수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될수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기존 철강업계가 당진제철소를 공동 인수하면 냉연과 강관
업체는 열연강판등 원료의 안정적인 확보라는 면에서, 전기로 업체들은
미니밀 코렉스등 신기술 습득 기회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득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냉연및 강관업체와 전기로 업체들이 인수주체가 된다면 동부제강 연합철강
인천제철 강원산업 동국제강 한국철강등이 주축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 포철과 중소철강 메이커들도 공동인수단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냉연업체의 한 관계자도 "다른 철강사들이 동의한다면 부담도 크지 않아
한보철강 공동인수를 검토해볼 수 있다"며 "인수참여 업체들이 각자 지분
만큼씩 열연강판을 분배 받는다면 지금의 원료확보 애로도 어느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그럴 경우 한보철강의 대표 경영인은 철강분야 전문가로
선임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는 형태가 바람직 하다"고 덧붙였다.
물론 철강업체들의 한보철강 공동인수 방안은 아직 업계의 중지가 모아진
사안은 아니다.
일부 업체들이 아이디어 차원에서 제기하고 있는 정도다.
게다가 실현 가능성 여부에 회의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우선 지금의 한보철강 재무상태로는 아무리 공동인수를 한다해도 정상화가
어렵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공동인수를 희망하는 업체라 할지라도 사실은 "더 많은 특혜"가
주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만큼 절대적 대안이 될수는 없다는 것이다.
여기다 업체들간 경영권 시비 소지도 무시못할 난제다.
철강업체들이 비슷한 지분만큼씩 공동으로 한보철강을 소유할 경우 경영권
을 둘러싼 업체간 마찰 가능성이 커 순조로운 경영 정상화가 되겠느냐는
얘기다.
한 전기로 업체 관계자는 "부실화될 대로 부실화된 한보철강의 경우
전문적 식견과 리더십을 갖춘 주인이 주도적으로 경영을 해도 정상화
여부가 불투명한데 주인없는 회사를 만들겠다는 생각은 너무 이상적"이라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업계 일각에선 제3자인수가 특혜시비와 인수자 선정 어려움으로
안되고 국민기업화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면 그 다음 대안으로 철강업계
공동인수방안은 검토해 볼만하다는 입장인 셈이다.
실현 가능성 여부를 떠나 철강업계 공동인수 방안에 이목이 집중되는 것도
이런 이유다.
< 차병석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7년 2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