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보사태가 노동관계법 등의 "날치기"와 파업사태로 냉각된 여야관계에
새로운 정치쟁점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24일 한보철강사태를 현정권하 최대권력형비리사건
으로 규정하고 <>사업허가 <>은행대출 <>부도처리과정 등 3대의혹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기 위해 양당 합동조사단을 구성하기로 하는 등 한보철강
사태를 정치쟁점으로 삼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에대해 정부여당은 야당의 "특혜의혹설"을 정치공세로 일축하면서 한보
사태가 우리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련중소기업의 피해
구제방안을 마련키로 하는 등 조기진화에 부심하고 있다.

국민회의와 자민련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가진 제9차 반독재투쟁공동
위원회에서 한보사태를 논의, 오는 28일 오전 합동의총을 열어 양당합동
조사단을 공식 출범시키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자민련 안택수대변인이 전했다.

안대변인은 "한보철강에 대한 천문학적인 금융지원의 배후에는 민주계의
"젊은 부통령"이 개입돼 있다는 소문이 파다하다"며 "김영삼대통령은 "젊은
부통령" 개입여부를 개혁차원에서 즉각 수사하는 한편 제3자인수 결단도
조속히 내려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국민회의 정동영대변인도 "한보철강의 부도처리는 은행의 자율적 판단에
의해 이루어진게 아니다"며 "정부는 여권핵심부의 개입여부를 철저히
가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신한국당 이상득 정책위의장은 "일부에서 제기하는 의혹이 무엇 때문인지
모르겠다"면서 "한보부도는 관련 은행이 경제적 기준에 의해 처리한 것이나
우리 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해서는 당차원에서 면밀히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의장은 이어 "사태 추이를 지켜본뒤 필요하다면 한보와 관계를 맺고
있는 납품업자나 하청업자 등에 대한 지원을 정부측에 요청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한국경제신문 1997년 1월 2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