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통신및 고밀도 정보저장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될수 있는 광기술
개발사업이 본격화된다.

과학기술처는 10일 미래원천기술개발사업의 하나로 광기술개발사업을
선정,광정보처리기술및 원자광학기술을 중점 개발키로 하고 30~40대
박사들로 구성된 사업단을 구성했다고 밝혔다.

광정보처리기술개발 분야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중심으로 14개
대학연구팀이 협동연구하고 원자광학기술개발 분야는 한국표준과학연구
원이 주관연구기관이 돼 4개 대학연구팀과 공동연구에 나설 예정이다.

광정보처리기술개발분야의 핵심은 광파로 광파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
하는 것으로 99년까지 1단계 기간동안 광제어 특성을 갖는 이득형 논리
소자및 파장과 편광변환 논리소자를 개발하고 2001년까지 2단계 기간중에는
여러가지 다른 기능의 광소자를 집적해 광논리 모듈을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또 2004년까지 3단계 사업기간에는 광연산기능을 갖는 소자를 제작,광연산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할 계획이다.

원자광학연구분야는 광으로 원자등 미세입자를 마음대로 조작,새로운 기술
을개발하는 것이 핵심으로 99년까지 원자냉각 원자포획등의 원자조작 기초
기술을 다지고 2001년까지 원자광학 소자및 가간섭성 원자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또 2004년까지 원자간섭계를 제작하고 새로운 물질상태를 구현함으로써
신물질창조는 물론 초정밀 측정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 김재일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2월 1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