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4) '부산' .. 금융 활성화 시급하다 <4>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산은 누구나 인정하는 우리나라 제2의 도시이지만 금융환경은 그렇지
못하다.
2000년 부산의 발전목표중 하나가 동남권의 국제금융중추도시로의 부상이나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강하다.
부산금융산업의 활성화, 더 나아가 국제금융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우선적
대안으로 선물거래소 부산유치, 문현금융단지 설립 등을 꼽을 수 있다.
서울지역에 편중되는 금융집중현상을 완화하는 방안으로 소외된 부산권
금융산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소리가 높은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사실 부산지역 금융의 현실은 국제금융도시로서의 발전을 꿈꾸고 있다는
말을 꺼내기조차 부끄러울 정도다.
부산지역 금융의 전국비중은 예금은행 및 비통화금융기관을 합해 지난
94년말 현재 7.4% 수준으로 지난 80년대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부산지역 대출비중이 예금비중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것은 부산
지역에서 조성된 자금이 역외로 유출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부산상의조사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부산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은
14조5천70억원으로 총조성자금의 36%.
"지역경제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조성된 자금의 상당부분을
지역금융으로 환원되도록 하는 것이 지역균형발전과 형평을 위해 요구된다"
는 지적은 부산경제계가 모두 공감하는 대목이다.
여기에 부산지역도 선물거래소를 설립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최근들어 상공계 학계 시의회 등이 "선물거래소 부산유치위원회"를 결성,
선물거래소 유치 결의안을 채택하거나 설명회를 계획하는 한편 등록세 등
지방세 감면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부산상의 강병중회장은 "서울중심의 경제구조에서 탈피해 균형있는
지역경제의 육성과 지역금융 활성화,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지방에
선물거래소 설치가 필요하다"면서 가덕신항만과 수영정보업무단지 건설
추진으로 물류 정보통신기능을 갖춘 부산이 최적지라고 주장한다.
그는 특히 "부산선물거래의 예상규모는 연간 20조원 이상인데다 거래
수수료 회원권판매 등도 5조원규모에 달하는 부가가치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부산대 김태혁교수도 "부산은 경남 대구 경북지역과 더불어 국내
총생산의 40%정도를 점유하는 동남경제권을 형성, 선물거래소가 들어설
경우 동남경제권지역이 수도권과 대칭되는 핵심산업벨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산이 명실상부한 금융중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금융의
활성화와 외환금융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부산국제증권거래소의 설치도
시급한 과제다.
오는 2000년대에는 지역 유망중소기업의 자본시장에 대한 욕구와 국제
금융거래가 엄청나게 늘어나 부산국제증권거래소 설치야말로 지방화 및
국제화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또한 부산 상공인들과 금융계는 21세기 환태평양 중심도시로 부상하기
위해 국내최초로 종합금융단지를 추진중에 있다.
부산시 도시개발공사가 시행하는 이 공사는 부산시 남구 문현동
옛정비창부지 3만4천7백여평에 2천2백26억원을 들여 오는 2000년까지
건설될 예정이다.
부은경영정보연구소 김형구연구위원은 "문현금융단지의 성공여부는 부산
금융, 나아가 부산경제의 회복과 맥을 같이 한다"고 지적하면서 이 단지의
적기조성을 촉구한다.
그는 또 "시금고의 경우 광역시중 부산만이 서울소재 은행이 전담, 지역
금융권 형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개선을 요구했다.
이밖에 담보가 없는 건실한 지역 중소기업에게 무담보로 보증을 서줘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역신용보증조합은 물론 상의가 중심이 된
신용협동조합을 조속히 설립해야 한다는 제안도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행 이조방 부산지점장은 "지역금융의 발전은 지역산업의 성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지역금융기관은 경영정보의 제공 등
종합적인 경영서비스 지원을 강화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품개발 등을 통해 금융기반과 자생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 부산 = 김태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6일자).
못하다.
2000년 부산의 발전목표중 하나가 동남권의 국제금융중추도시로의 부상이나
실현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강하다.
부산금융산업의 활성화, 더 나아가 국제금융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우선적
대안으로 선물거래소 부산유치, 문현금융단지 설립 등을 꼽을 수 있다.
서울지역에 편중되는 금융집중현상을 완화하는 방안으로 소외된 부산권
금융산업을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소리가 높은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사실 부산지역 금융의 현실은 국제금융도시로서의 발전을 꿈꾸고 있다는
말을 꺼내기조차 부끄러울 정도다.
부산지역 금융의 전국비중은 예금은행 및 비통화금융기관을 합해 지난
94년말 현재 7.4% 수준으로 지난 80년대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부산지역 대출비중이 예금비중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것은 부산
지역에서 조성된 자금이 역외로 유출되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부산상의조사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 부산지역 자금의 역외 유출은
14조5천70억원으로 총조성자금의 36%.
"지역경제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조성된 자금의 상당부분을
지역금융으로 환원되도록 하는 것이 지역균형발전과 형평을 위해 요구된다"
는 지적은 부산경제계가 모두 공감하는 대목이다.
여기에 부산지역도 선물거래소를 설립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최근들어 상공계 학계 시의회 등이 "선물거래소 부산유치위원회"를 결성,
선물거래소 유치 결의안을 채택하거나 설명회를 계획하는 한편 등록세 등
지방세 감면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부산상의 강병중회장은 "서울중심의 경제구조에서 탈피해 균형있는
지역경제의 육성과 지역금융 활성화,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지방에
선물거래소 설치가 필요하다"면서 가덕신항만과 수영정보업무단지 건설
추진으로 물류 정보통신기능을 갖춘 부산이 최적지라고 주장한다.
그는 특히 "부산선물거래의 예상규모는 연간 20조원 이상인데다 거래
수수료 회원권판매 등도 5조원규모에 달하는 부가가치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부산대 김태혁교수도 "부산은 경남 대구 경북지역과 더불어 국내
총생산의 40%정도를 점유하는 동남경제권을 형성, 선물거래소가 들어설
경우 동남경제권지역이 수도권과 대칭되는 핵심산업벨트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부산이 명실상부한 금융중심도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금융의
활성화와 외환금융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부산국제증권거래소의 설치도
시급한 과제다.
오는 2000년대에는 지역 유망중소기업의 자본시장에 대한 욕구와 국제
금융거래가 엄청나게 늘어나 부산국제증권거래소 설치야말로 지방화 및
국제화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또한 부산 상공인들과 금융계는 21세기 환태평양 중심도시로 부상하기
위해 국내최초로 종합금융단지를 추진중에 있다.
부산시 도시개발공사가 시행하는 이 공사는 부산시 남구 문현동
옛정비창부지 3만4천7백여평에 2천2백26억원을 들여 오는 2000년까지
건설될 예정이다.
부은경영정보연구소 김형구연구위원은 "문현금융단지의 성공여부는 부산
금융, 나아가 부산경제의 회복과 맥을 같이 한다"고 지적하면서 이 단지의
적기조성을 촉구한다.
그는 또 "시금고의 경우 광역시중 부산만이 서울소재 은행이 전담, 지역
금융권 형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개선을 요구했다.
이밖에 담보가 없는 건실한 지역 중소기업에게 무담보로 보증을 서줘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지역신용보증조합은 물론 상의가 중심이 된
신용협동조합을 조속히 설립해야 한다는 제안도 설득력있게 제기되고 있다.
한국은행 이조방 부산지점장은 "지역금융의 발전은 지역산업의 성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지역금융기관은 경영정보의 제공 등
종합적인 경영서비스 지원을 강화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상품개발 등을 통해 금융기반과 자생력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 부산 = 김태현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1월 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