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감독원이 은행 5개지점에 대해 실명제 이행상황 검사에 전격 착수함에
따라 이들 5개지점이 어디냐에 금융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문제가 된 차명계좌 알선과 관련해 은행장 문책까지 거론되는 상황
이어서 은행들의 긴장은 한층 도를 더해가는 양상이다.

일단 이번 은감원 검사대상으로는 P, K, C, J, I은행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은행은 문제가 됐던 SBS방송에서 일부 내비쳤다든가 평소 합의차명을
공공연히 해왔다는 점 때문에 도마위에 올라 있다.

이와관련, 은감원의 한 관계자는 "5개지점이 반드시 5개은행을 의미하지
않는다"고 말해 한 은행의 두개 지점이상이 검사대상이 될수 있음을
시사했다.

일각에서는 또 은감원이 검사착수 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한데 주목하고
있다.

이미 합의차명으로 실명제를 위반한 은행을 적발한 상태에서 이를 뒷받침
하기 위한 작업을 "형식적으로" 벌이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만약 이 경우라면 사태 해결을 위한 일정을 마련해 놓은 상태라고도 볼수
있어 파장은 의외로 커질 가능성이 있다.

더구나 은감원은 5개지점외에도 앞으로 10여개 은행의 점포를 대상으로
추가 검사를 실시할 방침임을 분명히 해두고 있다.

은감원이 실명제 위반검사에 대해 다소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다가 돌연
입장을 바꾼 사실로 미뤄 고위층에서 모종의 지시가 내려졌을 것이란 점도
설득력있게 나돌고 있다.

한편 은감원의 이같은 방침이 알려지자 은행들은 비상회의를 여는 등 내부
단속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였다.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은 주말인 26일 은행장들이 직접 회의를 주재, 차.도명
에 직원들이 개입하지 말 것과 예금 신규거래시 실명확인증표 사본징구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강력히 당부하기도 했다.

"만일의 사태"에 우려하는 비장한 모습으로 비쳐질 정도다.

은감원의 검사결과가 언제쯤 발표될지는 아직 불확실하다.

그러나 실명제가 김영삼 정부의 최대 "치적"이라는 점에서 이를 정면으로
위배한 것이 드러날 경우 그에 상응하는 대가를 치를 것 또한 분명하다는
금융가의 대체적인 시각이다.

< 이성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2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