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 가입했다고 해서 선진국이 되는 건 결코 아니다.

각종 제도를 선진국 수준에 맞추고 규제완화를 한다해도 마찬가지다.

이는 겉옷만 세련된 것으로 갈아입은 것에 다름 아니다.

속도 국제화해야 한다는 얘기다.

국제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외국어 교육을 보다 강화하는 한편 외국인이 편안
하게 살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각종 정보의 산실인 OECD를 1백% 이용하려면 외국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면서도 특정정책분야에 정통한 국제전문인력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

OECD는 이사회와 26개 위원회, 사무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후 세계경제질서 재구축에 관한 각종 회의에서 대화는 공용어인 영어와
불어로 진행된다.

정부대표들은 선진국의 정책 변화및 동향을 면밀히 파악해야 하며 예정된
자유화계획에 따른 국내 정책의 집행진도를 알려주어야 한다.

이같은 과정에서 외국어 실력과 전문지식 습득은 필수불가결하다.

"말"과 "행동"이 다소 달라도 그런대로 눈감아질수 있었던 과거와는 국내
정책 집행과정의 투명성을 제대로 알리지 못할 경우 곧장 국익손실로 연결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현실은 이와 거리가 멀다.

각 부처 사무관급이상 공무원들은 중고교에서 문해력 문법위주의 영어교육
을 받아 특정주제를 놓고 토론을 벌이는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처간 직급간 영어실력차도 크다.

투자한 시간과 노력에 비해 실전에 약한 국내 영어교육 경쟁력을 높이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다.

단기적으로는 현재 외유차원에 머물고 있는 공무원들의 해외유학및 연수
교육을 대폭 개선, 철저한 어학훈련과 전문분야연구를 통해 예비전문가로
양성한뒤 OECD대표부등에 파견, 경제외교전문가롤 키울 필요성이 있다.

국제세일즈맨의 양성및 활용도 중요하다.

"OECD에는 민간인들도 참여하는 각종 회의가 많다. 선진국과 같이 정부도
보다 공격적이고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국제세일즈맨과 함께
각종 협상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권재중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연구위원)
는 지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임직원들이 해외에서 익힌 어학실력이나 지식을 업무에서
계속 활용하도록 후속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정부도 각 분야의 민간전문가를 발굴, 평소 유대관계를 갖는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

국제화는 외국인들이 자국과 같이 한국에서 생활하는데 거의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각종 제도및 관행, 관습등을 바꾸는 것이기도 하다.

일한산업기술협력재단이 한국에 진출한 7백6개 일본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을 향후 생산거점으로 생각하는 기업은 전체의 11%에
불과했고 아세안국가와 중국이 각각 58%, 56%를 차지했다.

한국의 투자매력이 이같이 땅에 떨어진 이유로는 <>잦은 이직에 따른
인재확보난 <>과다한 임금및 고금리 <>품질관리인식 부족등이 손꼽혔다.

또 국내에 진출한 1백8개 외국기업들은 애로사항으로 행정및 금융규제,
낙후된 유통구조, 문화적 차이등을 지목하고 있다.(포스코경영연구소 조사)

대화가 안통하고 중간에 길을 잃어도 찾을 수 없는 나라, 외국인에 대한
편견, 사람들의 퉁명스러움, 남을 생각하지 않는 자기위주의 사고...

이런 것들 때문에 도저히 살기가 어렵다는 푸념이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바로 국제화의 첩경이다.

내국인에 비해 외국인을 우대하는 "역차별화" 정책을 취할수 없다.

외국인들이 보다 편리하게 국내에 체류할수 있도록 비자발급및 신원보증
체제연장허가등을 간소화하며 중장기적으로 영어전용의 초.중.고교등을
설립해야 한다.

지구촌시대 개막에 따라 외국인을 지나치게 존중하거나 혹은 업신여기는
시각을 버리고 국적과 관계없이 서로 협조하며 일하는 "팀 플레이 문화"를
조속히 정착시켜야 한다.

외국인이 투자하기 좋고 살기 좋은 "코리아"를 만드는 것이 바로 국제화
이다.

<최승욱기자>

(한국경제신문 1996년 10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