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류가 품목에 따라 일부 등락이 엇갈리고 있으나 본격적인 휴가가
시작되면서 매기가 저조, 안정세를 지속하고 있다.

과일류는 바다, 산 등 피서지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다 노지제품의
작황이 부진한 수박, 참외가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햇사과인 아오리가 첫선을 보여 상품이 개당 1,000원의 비교적
낮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수산물은 연근해안의 어획량 감소로 제주산 은갈치가 마리(1.5kg정도)당
30,000원의 초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활어류도 피서지 수요증가로 반입량이 감소하자 강세권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고등어, 꽁치, 생태 등 일반 대중선어류는 여름철 매기부진으로
비교적 낮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다.

곡물류는 여름철 소비부진으로 일반미 시세가 전반적으로 약보합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잡곡류도 시세변동없이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 가락동농산물시장 >>

저장이 시작된 양파가 kg당 상품이 300원이 올라 1,000원선에 거래되고
있고 흙생강과 시금치도 상품이 400g와 한단에 500원과 400원이 오른
2,500원과 1,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수요가 줄어든 양상추는 상품이 kg당 500원이 하락해 2,500원에
팔리고 있고 풋고추와 홍고추도 상품이 400g당 500원과 1,000원이 떨어져
1,000원씩에 거래되고 있다.

또한 무와 알타리무도 상품이 개와 한단에 500원씩이 내려 1,000원과
2,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과일류는 물량이 계속 늘어나고 있는 복숭아(창방)가 상품이 개당 500원이
떨어져 2,000원선에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봄철 이상저온으로 노지재품의 작황이 부진한 수박은
통(10kg정도)당 1,000원이 뛰어 15,000원선의 강세를 나타내고 있고
참외도 상품이 개당 500원이 올라 2,000원선을 형성하고 있다.

<< 노량진수산시장 >>

제주산 은갈치가 마리당 30,000원까지 거래되고 있고 냉동 참조기도 상품
(4단상머리)이 마리당 30,000원의 높은시세를 지속하고 있다.

활어류는 자연산 광어 상품이 kg당 70,000원선에도 물량이 극히 적어
실질적인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그러나 씨알이 적은 생물고등어는 하품이 7마리에 5,000원으로 비교적
낮은 시세를 형성하고 있고 생물꽁치도 매기부진으로 상품이 마리당
300원선의 약세를 보이고 있다.

<< 곡물류 >>

여름철 매기부진에다 공급사정이 원활 경기미와 호남미 상품이 47,000원과
42,000원까지 거래, 보합세가 장기화되고 있다.

(한국경제신문 1996년 8월 3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