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의 1cm 오차가 결과적으로는 100m 오차를 가져 오는 것이
골프스윙이다.

골퍼자신이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쉬운 사소한 잘못이 두고 두고 거리와
방향을 어긋나게 한다는 얘기다.

다음의 두가지 케이스가 좋은 예.

이 두가지만을 체크한후 바로 잡아도 당신의 구질은 크게 개선 될
것이다.

<>.첫번째는 백스윙 톱에서의 왼손 손목형태이다.

톱에서의 왼쪽 손목모습은 플래트해야 한다.

그래야 톱에서의 샤프트방향이 타깃과 평행을 이룰수 있다.

그러나 아마골퍼들의 절반이상은 왼손 손목이 안으로 꺽인 형태를
이룬다.

다시말해 시계판쪽을 향해 안으로 젖혀진채 톱스윙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원리적으로 몇가지의 근본적 잘못이 발생한다.

우선 톱에서의 샤프트 방향이 타깃의 오른쪽을 가리키게 된다.

손목이 꺽인만큼 샤프트방향이 틀려지는 것.

톱에서의 샤프트방향이 "타깃선상과의 평행에 실패하면" 당연히
궤도자체도 어긋난다.

대부분은 다운스윙에서 자신도 모르게 그것을 바로 잡으려 하다가
클럽헤드가 먼저 앞으로 나가며 "아웃-인"의 궤도가 되고 슬라이스가
난다.

이보다 더 큰 문제점은 클럽을 톱에서부터 던지는 현상이다.

톱에서 젖혀진 왼손 손목이 그대로 내려올수는 없으니만큼 골퍼들은
자연히 다운스윙시작부터 손목을 푼다.

시계판쪽으로 젖혀진 왼손 손목이 임팩트까지 그대로 내려온다고 가정해
보라.

그러면 이치적으로 양손보다 클럽헤드가 먼저 나가 볼과 접촉하는
"말도 안되는" 임팩트가 될 수 밖에 없다.

다운스윙 시작부터 손목이 풀리면 거리상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코킹이 최대한 늦게까지 유지돼 임팩트직전에 풀려야 그 "탄력"으로
헤드스피드가 가속되는데 그 코킹이 시작부터 풀리면 임팩트존에서의
헤드스피드는 오히려 감속되기 십상이다.

결국 톱에서 "젖혀진 왼손 손목"은 거리와 방향을 모두 해칠 수 밖에
없다.

이런 잘못을 고치려면 플라스틱 자를 시계에 끼우고 연습하는 것도
방법이다.

왼손 손목형태는 골퍼들이 가장 간과히기 쉬운 잘못이만큼 특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왼손 새끼손가락부터의 세손가락위주로 그립하라"는 말은 불변의
진리요, 가르침이다.

그러나 골퍼들은 그 가르침을 잊고 왼손 전체로 그립을 거머쥔다.

특히 그립에 힘을 주면 왼손 새끼손가락보다 엄지쪽에 더 힘이
가해지기도 한다.

스윙톱이나 다운스윙중에 왼손 새끼손가락쪽이 느슨해지면 이것 역시
이치적으로 클럽을 톱에서 부터 던지게 된다.

새끼손가락쪽의 느슨해진 공백을 다운스윙중에 메꿔야하니 코킹이
일찍 풀릴수 밖에 없는 것. 이런 경향이 있는 골퍼들은 새끼손가락에
티를 끼우고 연습하며 잘못을 고칠수 있다.

새끼손가락에 끼워진 티가 임팩트이후나 피니시까지 그대로 유지되면
"새끼손가락위주의 견실한 그립"이 이뤄진 셈이다.

흔히 "코킹유지-레이트 히트"의 감잡기가 가장 어렵다고 하는데 그것은
전적으로 새끼손가락위주의 그립에 달려있다.

< 김흥구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