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말부터 심상치 않은 조짐을 보인던 물가가 새해들어 한달 동안 0.9%
나 올라 연초부터 물가관리에 적색등이 켜졌다.

이같은 수치는 한달간 상승률으로는 지난해 3월 1.4%이래 10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이다.

특히 수해에 따른 농작물 피해로 물가가 급등했던 지난해 9월 한달간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0.8%였던 점을 감안하면 1월중 물가상승률은 결코 낮은
수준이 아님을 알수 있다.

물가에 대한 재정경제원의 입장은 "일시적이고 특수한 요인 때문"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2월에는 특수요인이 사라지는데다 정부의 농축수산물 방출량 확대
등으로 물가는 다시 잡힐 것이라 장담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올해의 경우 "일시적이고 특수한" 물가를 자극하는 복병들이
도처에 깔려 있다는데 있다.

우선 사립대학들이 정부의 인상억제 방침에도 불구하고 등록금 20% 인상을
고집하고 있다.

여기에 각 지자체가 버스요금등 공공요금인상 계획을 세우고 있고 일부
지역의 경우 쓰레기 수거용 봉투값을 30%이상 올렸다.

우성건설의 부도로 건설업체와 중소기업에 지원되는 각종 자금 역시 물가
자극요인이다.

표준건축비 조기인상과 아파트 분양가 자율화 확대조치도 물가안정에는
마이너스 요인이다.

이밖에 우유값도 인상될 전망이고 학원비 세차비 놀이방보육료등 서비스
요금도 고개를 들고 있다.

더욱이 총선을 앞두고 선심성 공약의 남발과 이에따른 기대심리로 물가는
더욱 춤을 출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연초부터 거의 매주 대책회의를 열고 경찰청 세무서까지 동원,
가격인하를 유도하고 있지만 선거를 앞두고 지나치게 강도 높은 수단을
동원하기도 곤란한 형편이다.

결국 지금 추세대로라면 올해 소비자물가상승율을 4%대로 잡겠다는 정부의
계획은 "희망사항"으로 그칠 공산이 크다는 지적이 중론이다.

< 김선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6년 2월 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