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제공된 한국은행의 ''긴급자금''이 은행에서 거의
나가지 않고 있다.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들어 7차례 지원된 지역경제안정을 위한
긴급자금중 지난 9월 5일부터 영진건설부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전.충남지역에 지원키로한 2백억원은 두달이 넘도록 6억원 대출되는데
그쳤다.

또 미화주택과 세일종합건설의 부도 등으로 피해를 입은 제주지역
중소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7월5일부터 50억원을 책정해 놓았으나 지금
까지 불과 20억원만 지원됐다.

지난달 6일부터 충북지역의 지역경제 안정자금으로 지원키로 한
2백억원도 아직 절반에도 못미친 99억원만 지원됐다.

충북지역의 경우 지난 3월 덕산그룹부도와 충북투금 업무정지여파로
지원키로 했던 2백억원도 지금까지 1백48억원이 지원되는데 그쳤다.

이는 은행들이 지방 중소기업들의 담보와 신용부족을 이유로 대출을
꺼리기 때문으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올들어 7차례의 긴급자금지원중 지원키로한 금액이 대부분이 나간 경우는
덕산그룹부도로 인한 광주 전남지역의 긴급자금 1천억원과 하나백화점
부도와 가스폭발사고로 대구.경북지역에 나간 4백억원뿐이다.

한은관계자는 "대전.충남지역이나 제주지역의 경우 피해중소업체들이
주로 건설관련회사들이어서 담보와 신용이 부족한 탓에 은행들이
자금지원을 꺼리고 있는게 자금지원부진의 가장 큰 요인"이라고 밝혔다.

< 육동인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1월 21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