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 기관투자가들이 매수강도를 높니면서 주식시장의 기관화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이에따라 기관들의 주식매집배경과 앞으로의 태도변화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증시전문가들은 기관화장세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는데 의견을 모으고
있다.

이와같은 현상을 ''기관투자가에 의한 금융장세도래''라고도 불리고 있다.

국내기관투자가들은 10월들어 24일까지 3조1천1백22억원어치를 팔고 3조
5천2백3억원어치를 사들여 4천80억원의 순매수를 기록했다.

올들어 9월까지 총 5천5백71억원의 순매도를 보인것과 비교할 때 엄청난
순매수규모라고 할 수 있다.

기관별로는 보험이 이달들어 24일까지 2천84억원어치로 가장 많았고
은행(1천9백37억원)투신(1천5백22억원)연기금(1백86억원)등의 매수세도
강했다.

증권사들만이 1천6백31억원의 순매도를 보였을 뿐이다.

기관투자가들이 이처럼 10월들어 매수강도를 높인 것은 금리하락에 따라
주식시장이외에 자금을 운용할만한 곳을 찾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교보생명의 조항원 자산운용담당이사는 "실제금리가 내려감에 따라 채권
금리가 내려감에 따라 채권금리에 연동돼 있는 자산의 비중을 높이기
힘들어져 당분간 주식시장으로 자금이 몰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번달부터 불붙기 시작한 기관매수세는 다음달로 갈 수록 더욱 강해질
전망이다.

시중실세금리가 11%대로 떨어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증권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기관투자가들이 다음달 주식투자규모를 늘려잡고 있다.

투신사는 다음달들어 최대 매수세력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투신 주식운용부 신철순차장은 "일반자금의 유입은 부진한 편이지만
보험 은행 연기금등에서 들어오는 대규모 투자자금이 늘고 있어 순매수규모
가 이번달의 2백에 이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최명수/정태욱 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0월 26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