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환경오염 측정을 보다 신뢰롭게 하기위해 국가
차원의 "환경오염물질 측정관리시스템"을 4년동안 구축키로 하고 최근
기본계획을 마련했다.

환경오염 측정의 신뢰도 확보가 중요해지고 또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환경오염 측정치의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환경오염측정의 신뢰도가 향상되면 환경오염의 실태를 제대로 파악해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뿐아니라 오염측정치를
토대로 실시하는 각종 환경관련정책이 제기능을 할수 있게된다.

환경오염 측정치는 독성폐수를 배출한 업체에 법적인 제재를 가하기
위한 근거가 되기도 하고 먹는 샘물의 유해물질 함량을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알릴때 활용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수입농산물의 잔류농약치를 대외적으로 공표할때에 신뢰성
있는 수치를 내놓지 못하면 통상마찰이 일어날수도 있다.

여러가지 환경오염물질의 측정방법,장비,인력등 3개부문에서 생기는
측정오차 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계획의
중요내용이다.

측정방법은 오염물질별로 최적의 분석방법을 개발하고 표준화해
관리할 계획이다.

동시에 새로운 유해물질에 대한 분석방법을 개발,보급하는 한편
국제적으로 공인된 측정방법을 활용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측정장비의 경우 환경오염물질이 대부분 화학물질인 탓에 주로
인증표준물질(CRM)을 활용해 관리하기로 했다.

CRM은 측정장비가 제기능을 하는지를 확인하는 "잣대"라 할 수있다.

일례로 각기 제값을 갖고 있는 표준물질을 검사대상 측정장비에 넣어
측정할때 제값이 나오면 측정장비의 정확도가 보증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증표준물질의 개발에 힘쓰기로 했다.

국내의 경우 대기오염물질 측정장비의 신뢰성을 검사할때 쓰이는
인증표준물질은 상당수 보급돼있지만 수질및 토양오염 측정장비의
정확도를 검사하는 인증표준물질은 거의전무하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표준연은 또 전문성을 갖춘 측정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환경오염 측정이 이처럼 체계적으로 관리되야하는것은 측정에 대한
신뢰성을대외적으로 얻지 못하면 우리나라에서 이뤄진 환경관련
인증이 외국에서 인정받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등장하고 있는 각종 환경관련인증은 환경오염
측정치를 토대로 하기때문에 국가간 상호인증이 이뤄지지 않으면
국내기업의 공산품과 농산물 수출이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선진국은 이에따라 환경오염 측정의 신뢰성을 높이기위해 측정관리시스템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미국의 경우 국립표준기술원과 환경청이 공동으로 환경표준물질을
개발,자국의 환경오염물질 측정의 정확도 관리에 활용하고 있다.

유럽연합(EU)도 10여년전부터 회원국 실험실간의 기준물 공동체
사무국(BCR)을 설립,환경오염물질측정방법의 정밀도를 높여 EU전체의
측정결과를 일치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환경오염물질 측정관리시스템은 관련부처가 모두 적극 참여해야
구축될수 있습니다"

표준연의 허귀석 유기분석그룹장은 "유사한 환경오염물질을 측정하는
기관들끼리 협력,각기관의 측정치가 믿을 수 있는지를 서로 확인해주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위해 관련부처가 산하기관이 제대로 측정관리를 받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국내의 경우 대기및 수질오염은 환경부,식품이나 수입농축산물과
토양오염은농수산부,상수도 수질은 내무부,공산품의 성분분석은
통상산업부,음용수및 식품류의 유해성분 분석은 보건복지부,작업장
환경분석은 노동부등 환경오염물질을 관리하는 부처는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처가 환경오염물질 측정관리를 제도화 하지않고
있고 부처간 협력체제역시 이뤄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한국경제신문 1995년 8월 10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