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성정밀(대표 조상진)이 수배전반등 중전기부품을 생산하는 제2공장을
건설,중전기부품시장에 신규진출한다.

6일 협성정밀은 경남 창원공단내에 총40억원을 투자,팔용공장을 완공하고
마그네틱콘덱터및 일렉트릭콘트롤판넬등 중전기부품의 본격생산에 들어갔다
고 밝혔다.

제2공장에는 회사부설 자동차부품연구소도 들어선다.

마그네틱콘덱터는 전류를 차단시키는 전기식 자동개폐장치로 산업용 공작
기계의 핵심부품이다.

또 일렉트릭콘트롤판넬은 각종 공작기계에 널리 사용되는 수배전반이다.

이회사는 지난 89년 설립이후 자동차의 핵심부품인 카뷰레타용 드로틀샤
프트등 자동차부품을 주로 생산해왔다.

협성은 올연초 신규사업 진출을위해 사내에 중전기및 전기판넬사업부를
신설,조직개편을 단행했으며 현재 신규인원을 확충,연말까지 사원을 80명선
으로 갑절정도 늘릴 계획이다.

팔룡공장은 대지 2천5백평,건평 1천5백평규모로 연간 20억원정도의 매출
증대가 기대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협성정밀의 올전체매출목표는 40억원이다.

조상진사장은 "신공장 건설을 계기로 회사에서 생산하고있는 자동차부품
및 중전기부품의 수출도 적극 추진중"이라고 밝히고 "일본최대 미싱메이커
인 쥬키및 이산사에 부품공급 계약을 맺고 지난달 시제품을 선적했다"고
말했다.

이회사는 회사설립이후 자동차부품인 유공압 응용기기등의 국산화에 매달
려왔으며 88년에는 드로틀샤프트를 국산화,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등에 납
품하고있다.

92년에도 캬부레타 액츄에이터를 국산화했다.

협성은 자동차부품 국산화 공로로 91년에는 한국생산성본부가 주는 생산
성대상을 받았고 92년에는 상공부로부터 기술선진화업체로 지정받는등 기술
력을 인정받고 있다.

< 최인한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