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시내버스 인상폭에 대한 방침을 결정하지 못하는 바람에 가뜩이나
난항을 거듭하는 서울시내 버스요금 인상폭 결정이 더욱 장기화될 조짐이다.

특히 버스업계 대표들은 재정경제원등이 자신들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
경우 운행중단도 불사하겠다고 나서 "시민의 발"을 볼모로한 또한차례의
파동이 우려되고 있다.

이는 재경원이 2백90원인 시내버스요금을 3백20원으로 10.3% 올리도록
각 지방자치단체에 행정지침을 내린데 반해 사업조합측은 4백40원으로
51.7% 인상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6백원인 좌석버스요금도 재경원은 6백50원(8.3%), 업계는 8백80원
(46.7%)으로 심각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시는 재경원의 인상폭(3백20원)보다 높은 인상안을 마련,
청와대 재경원등 관계기관과 조정작업에 나서 문제의 해결을 시도하고
있으나 여론을 의식, 구체적인 인상안에 대해서는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시가 적당한 절충선을 제시해봤자 물가안정 의지가 강한
재경원과 업계모두를 모두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는데 있다.

재경원과 건설교통부는 버스요금이 물가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서울버스요금
인상폭이 부산 대구등 타지역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10.3%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히고 있다.

재경원과 건교부는 버스전용차선 확대실시, 양방향 전일제 버스전용차선
도입등으로 버스승객은 30%, 버스운행속도는 20%씩 각각 증가, 이미
버스업계에 약10%이상의 요금인상 효과를 가져다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오는 4월부터 주택가와 전철역을 순환하는 23개 노선의 지하철 셔틀버스
사업자를 시내버스업체중에서 선정하고 냉방버스의 요금도 차등화하기로
하는 것도 버스업계에 커다란 이익을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재경원과 건교부는 시가 버스 지하철등 대중교통수단을 위주로 한 교통
정책을 펴고 버스요금 인상안에 대해 어정쩡한 태도를 보이는 틈을 이용,
업계가 무리한 인상요구를 하고 있다며 시에 노골적인 불만을 터트리고
있다.

한편 버스업계대표들은 지난 6일부터 버스요금의 현실화를 요구하며 교통
회관에서 16일째 농성을 계속하며 서울시가 재경원의 요금인상안이 받아
들일 경우 운행중단등도 불사하겠다며 강경한 저세를 보이고 있다.

< 방형국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2월 22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