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도시근로자가구는 식료품등 기본생활비의 비중을 낮춰가는
대신 교통 통신비및 교육 오락비등 선택적 소비지출을 늘려가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부분의 도시근로자들이 자신을 중산층으로 인식하고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보호원(원장 민태형)은 23일 지난 91년에 이어 두번째
펴낸"한국의 소비생활지표"에서 우리나라 도시근로자의 소비행태가
이같이 바뀌어 가고 있다고 밝혔다.

소비생활지표에 따르면 도시근로자가구의 식료품비 비중(엥겔계수)이
지난 90년 32.5%에서 29.3%로 떨어진 반면 교육 교양 오락비가 11.9%에서
13.5%,교통 통신비가 8.4%에서 10.2%로 늘어났다.

그러나 엥겔계수는 미국 일본등 선진국이 20% 내외의 구성비를 보이는
것과는아직 큰 차이를 보이고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식료품비중에는 특히 곡류의 구성비가 90년 19.4%에서 93년 13.6%로
떨어졌으며 외식의 구성비가 21.6%에서 28.1%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보급율은 83년의 70.1%에서 93년엔 79.1%로 증가됐으나 자가주택
소유비율은 80년의 58.6%에서 90엔 49.9%로 점차 떨어지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소비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1인당 승용차보유는 83년 1백36.1명이던
것이 93년에는 10.8명으로 크게 확대됐으며 가정용 전화가입율도 93년에는
1백11.1%로 신장돼 거의 모든 가구에서 1대이상의 전화를 구비하고있는 것
으로 조사됐다.

소비생활수준에 대한 계층귀속의식을 상 중 하로 구분해 설문조사한 결과
88.4%가 중산층이라고 응답,우리나라 국민들은 소득에 상관없이 소비생활에
선 중산층의식이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91년 통계청이 발표한 사회통계결과에선 주관적 계층귀속의식에서 중산층
비율이 61.3%를 나타냈었다.

소비생활지표는 소비자들의 구매상품에 대한 만족도가 30~40%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제품구입시 안전성을 크게 고려하고있는 것으로 지적하고있다.

소비자의 61.3%가 안전성여부를 확인하고 상품을 구매하고있으며 특히 수입
식품에 대해선 소비자의 84.9%가 안성성에 불안감을 보이고있는 것으로조사
됐다.

소비자문제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있으나 권리를 적극적으로 실행하려는
노력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헌법상의 소비자권리를 전혀 모르는 비율이 33.6%나 달했다.

그러나 소비자보호를 위한 국가정책의 필요성에 대해소비자의 88.5%가 그
필요성을 지적했다.

소비자들은 소비자문제의 발생원인으로 사업자의 잘못을 가장 크게 꼽았으며
(46.7%) 기업들의 개선노력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소보원은 "소비자의 계층귀속의식에서 보듯 소비생활에 대한 가계의 인식은
확대되고있으나 적절한 제도가 마련되지않고있어 소비자생활의 만족도를 떨어
뜨리고있다"며 정부가 소비자보호정책을 정비해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 남궁 덕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5년 1월 24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