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부처관리들은 조직개편에 따른 변동인력명단이 확정되자 곧 이어질
후속보직인사를 어떤 기준에 의해 할 것인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살아남는 조직의 국.과장이 그대로 자리를 지키는 "현직우선원칙"이냐,
아니면 능력위주로 일제히 재배치하는 "능력우선원칙"이 적용될지가
관심거리다.

대체로 과장이하 직급에선 능력위주로 완전히 새로 짜야 한다는 의견이
중론.현직위주로 배치할 경우 조직개편의 효과가 반감될 거라는 것이다.

반면 국장 이상의 고위직에선 아무래도 현직이 많이 남아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는 입장이 많다.

인사를 완전히 새로 하게 되면 그렇지 않아도 업무분장이 달라진판에
일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 우려가 있다는 것.

당분간은 현직을 맡은 사람이 그대로 승계받아야 업무의 안정성이 확보
된다는 주장.

그러나 재정경제원이나 건설교통부처럼 통합되는 부처에선 현직우선원칙이
적용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가뜩이나 물과 기름처럼 따로 놀게될 두 부처사람들을 화학적으로 통합
시키려면 능력위주의 재배치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이 과정에서 전문성이나 경력등이 주요참고자료가 될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관련 경제기획원의 고위관계자는 "인사는 신임 장.차관이 알아서
할일이지만 가능한한 대폭 교체하게될 것"이라고 말했다.

< 고광철기자 >

(한국경제신문 1994년 12월 18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