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등 남미국가들은 지난70년대중반 일찌감치
자본자유화조치를 단행했으나 자유화정책이 실패한 나라들이다.

자본자유화에 따라 해외자금이 급격히 유입됐으나 국내외 금리차는
더욱 벌어졌으며 물가는 급등했다.

자국화폐가 평가절상됐고 경상수지는 더욱 악화되는등 금융위기를
맞았다.

이들국가들은 자본자유화를 추진하며 재정긴축을 일부 시행하기도
했으나 환율이나 임금관리등 다른 거시경제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지
못해 상황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칠레와 우루과이의 물가상승률은 지난77년 50%였으며 아르헨티나는
2백%나 기록됐다.

물가가 오르고 자국화폐의 실질환율은 오히려 평가절상됐다.

실질환율절상률은 78~80년중<>아르헨티나 74%<>우루과이 67%<>칠레
36%등이였다.

이같은 실질환율절상은 경상수지를 악화시켰고 경제개혁에 대한
기업과 국민들의 신뢰성을 떨어뜨려 자본의 해외도피를 유발했다.

임금정책도 자본자유화의 실패요인이었다.

칠레의 경우 임금을 과거 물가상승률에 연동시켰다. 이는 물가가 오르면
임금이 상승하고 소비와 물가를 자극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됐다.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