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금융회사들의 외화자금조달방법이 바뀌고 있다.

지난해까지만해도 해외주주은행등으로부터 외화를 빌리는 뱅크론(은행대출)
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FRCD(변동금리부양도성예금증서) FRN(변동금리부채권)등
증권발행을 통한 자금차입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올들어 9월까지 국내6개 종합금융회사들의 외화차입규모는 4억3천만달러.

이중 FRCD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이 3억4천만달러.

나머지 9천만달러는 FRN발행으로 마련됐다.

그동안 종합금융회사들의 해외차입은 뱅크론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지난해 외화차입액 4억3천만달러중 3억6천만달러가 외국은행을 통해 국내로
들어왔다.

92년에는 2억5천만달러중 1억3천만달러(52%), 91년에는 6억2천만달러중 3억
7천2백만달러(60%)가 외국은행에서 차입됐다.

이보다 앞선 80년대에는 뱅크론이 거의 전부였다.

지난 76년 종합금융회사가 생긴 이후 외화차입액중 절반이상을 차지했던
뱅크론.

그러나 올해들어서는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지난9월까지 뱅크론으로 외화를 차입한 실적이 전무한 형편이다.

앞으로 뱅크론을 통해 외화자금을 조달하겠다는 종합금융회사도 없다.

뱅크론을 통한 외화차입이 아예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종합금융회사들이 뱅크론을 기피하는 것은 금리가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
이다.

뱅크론에 의한 자금조달비용이 FRCD FRN등 증권발행을 통한 직접조달보다
연0.1~0.2%정도 더 들어간다.

최근들어 FRCD FRN발행을 통한 외화자금조달이 가능한 것은 상대적으로
해외신용도가 높아진 탓이다.

해외시장에서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도가 크게 높아진데다 종합금융회사의
설립역사가 15년이 넘어서면서 종금사 인지도도 높아졌다.

최근 종금사들의 증권발행금리는 "리보(런던은행간금리)+0.4%"수준으로
개발도상국가들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외국은행들이 대출을 기피하는 것도 증권발행증가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금이 장기간 묶이는 은행대출보다는 시장에서 자유롭게 유통되는 증권
발행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국은행들은 지난 80년대 중반 중남미국가들의 외채상환유예(모라토리엄)
선언이후 대출을 시장에 내다팔수 있도록 증권화하는데 노력해 왔다.

국내은행들의 해외진출도 종금사들의 증권발행에 긍적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해외증권발행에 주간사로 참여하는등 종금사들의 외화차입에 국내은행
해외법인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

종금사들이 해외에서 발행하는 증권은 FRCD와 FRN등 두가지.

FRCD의 장점은 소규모발행(2천5백만~5천만달러)이 가능한데다 수수료
(발행금액의 0.125~1.5%)도 적게 든다는 것.

예금을 받을수 있는 금융기관만이 발행하는 FRCD는 보통 1년6개월에에
5년만기로 발행되는게 일반적이다.

FRN은 발행규모(5백만~5억달러)가 다양하고 공개발행을 통해 회사이름을
널리 알릴수 있다는게 장점이다.

반면 일반기업도 발행할수 있어 FRCD보다 리스크가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고 수수료(발행금액의 0.25~1%)도 많이 드는 단점을 갖고 있다.

종금사들은 최근들어 FRN보다 FRCD발행을 선호하고 있다.

회사이름이 국제사회에서 어느정도 알려져 있어 굳이 비용을 더 들이면서
FRN을 발행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27일 현대종합금융이 싱가포르에서 4천만달러규모의 FRCD를 발행한데
이어 새한종금은 29일 런던에서 5천만달러어치를 발행했다.

또 아세아종금이 오는14일 홍콩에서 5천만달러의 FRCD발행을 계획하는등
대부분 FRCD를 통해 외화자금이 조달되고 있다.

물론 FRCD가 종금사의 외화조달방법으로 계속 남아 있을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일부 종합금융회사에서는 중장기채권(Medium Term Note.MTN)발행등 다양한
자금조달방법을 추진중이다.

MTN은 15~20년동안 은행등에 일정금액한도를 설정한후 그 범위내에서
이자율및 만기가 다른 어음을 언제든지 발행할수 있는 금융상품.

아직까지는 종합금융회사들의 국제신용도가 MTN을 발행할 정도로 높지
못하지만 멀지 않아 이것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어쨌든 종금사들도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간접금융인 은행차입보다는 증권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현승윤기자>

(한국경제신문 1994년 10월 5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