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부터 기업통신용으로 쓰이는 고속 디지털전용회선서비스(DLS)를
시간제로 빌려쓸수 있게 된다.

데이콤은 최근 기업들의 56kbps급이상의 고 디지털전용회선서비스
이용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통신비 부담을 대폭 줄여주기 위해 국내
통신사업자로는 처음 DLS에 시간제요금을 도입, 서비스키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전화 고속팩스 화상 데이터등 각종 정보를 전송하는 56kbps급회선은 초당
5만6천비트,곧 영문 7천자,한글 3천5백자를 전송할수 있는 고속전송속도를
가리킨다.

데이콤은 이에따라 우선 9월1일부터 한달간 서울 부산 대전 대구 광주등
전국 46개 주요지역을 대상으로 시간제요금제도의 시범서비스를 실시하고
10월1일부터 본격적인 상용서비스에 들어갈 계획이다.

현재는 사용시간에 관계없이 매월 일정액의 사용료를 지불하도록 되어
있어 매월 60시간이하 전용회선을 이용하는 기업의 경우 시간제서비스를
이용하면요금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데이콤은 또 내년2월부터는 서비스내용을 더욱 다양화해 전용회선 사용
시간과 구간을 미리 예약해 사용할수 있는 예약제서비스와 가입회선의
최고 속도범위내에서 사용자가 통신속도를 자유로이 변경해 사용할수
있는 속도변경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데이콤은 고객이 필요한 시간대에만 회선을 사용하는 시간제서비스가
실시되면 기업들의 판매 재고관리등 본 지사간 업무외에도 대학 연구소
병원등 각기관에서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양의 정보를 주고 받을수
있게되고 비싼 요금때문에 활용이 부진했던 화상회의서비스 이용도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은행 증권 보험사등 금융관련기관과 민간VAN업체,항공 운수업체등도
백업용 통신망을 쉽게 구축할수 있어 고속 디지털전용회선을 업무에
이용하는 업체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고속 디지털전용회선서비스는 기업의 본 지사간 또는 지점간을 고속회선
으로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는 기업통신용서비스로 지난89년부터 서비스가
시작돼 현재9백여 기업및 기관에서 5천7백회선을 사용하고 있다.

<김형근기자>